위로가기 버튼

이 지사의 ‘경북미래 100년 청사진’ 기대한다

등록일 2021-06-29 19:48 게재일 2021-06-30 19면
스크랩버튼

28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민선 7기 3주년을 맞아 도정 성과와 향후 방향에 대해 기자간담회를 통해 자신의 소신과 구상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 지사는 경북의 미래 100년과 관련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과 탈원전 문제 해결, 대구경북 행정통합 등은 앞으로도 지속 추진돼야 할 과제임을 밝히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했다.

먼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과 관련해서는 “자신의 임기 중 있은 가장 큰 성과”로 평가했다. 통합신공항은 글로벌 경쟁 속에 대구경북의 위상을 만들 초대형 프로젝트라고 설명하고 이를 통해 산업과 수출, 관광 등이 활성화되고 경북은 세계 속에 도시로서 뻗어갈 것이라고 했다. 특히 경북 포항의 영일만항과 새로 건설될 통합신공항을 거점으로 해 북방교역의 교두보로 삼는 투포트 전략을 밝히기도 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관련해서는 “원전 집산지인 경북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라며 “현재 탈원전에 따른 피해를 조사 중이고 결과에 따라 정부를 상대로 소송도 할 계획”이라 했다. 이 지사는 “세계 각국이 원전 건설을 늘리는데 우리의 탈원전 정책이 국가의 경쟁력을 떨어뜨릴까 우려된다”고도 했다. 또 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관련, 수도권과 경쟁하고 세계적인 도시가 되려면 대구와 경북이 하나가 돼야 한다며 행정통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대구경북이 주도했던 행정통합 논의가 충청과 부울경 등에서도 필요성을 인식해 이젠 국가적 아젠다가 됐다며 앞으로 “국가 차원에서 공론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밖에도 행정의 변화를 위해 연구중심의 혁신 도정을 확대할 것임을 밝히기도 했다.

경북은 23개 시군 중 19개 시군이 인구소멸 위기에 처해있다. 전국적으로 지방소멸 선두권이다. 매년 전국에서 10만명의 인구가 수도권으로 몰리는 기현상의 국토불균형 속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자치단체도 찾아 해야 할 일이 많다. 국가의 국토균형정책이 근간이 돼야 함은 당연하지만 국가가 하지 않으면 지방이라도 생존을 위한 노력에 사력을 다해야 한다. 통합신공항, 탈원전, 행정통합 등은 경북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이 지사는 남은 임기 동안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지금까지 만든 성과가 탄탄한 기반을 잡도록 해야 한다. 그것은 단체장의 엄중한 책무이기도 하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