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1천500여 년 전 신라 왕경 경주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등록일 2021-06-21 20:15 게재일 2021-06-22 17면
스크랩버튼
경주문화재연구소의 신라 속 ‘숨은그림찾기’ 25
경주 선상지 지형면.

경주는 약 천년 동안 나라를 이어온 신라(기원전 57년~기원후 935년)의 유일한 수도이다. 곳곳에 천년의 향기가 묻어있으며 당시 찬란했던 역사와 문화가, 남겨진 유적과 유물을 통해 전해 내려오고 있다. 경주는 지금 우리 앞에 있는 최고의 역사서이자 관광지이다.

최근 KTX 신경주역이 생겨 관광 동선이 조금 달라지긴 했지만, 여전히 시외버스를 타고 경주터미널에서 내려서부터 여정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예전엔 유적지를 순환하는 관광버스나 일반 시내버스, 택시를 이용해서 주요 유적을 보고 오는 여행이었다면, 요즘은 전동차,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를 이용하거나 걸어서, 지금 경주에서 가장 유명한 ‘황리단길’의 맛집, 커피숍 등 핫플레이스를 가는 사람이 많다.

이때 보이는 주요 유적지들이 대릉원, 첨성대, 월성, 월정교이고 조금 더 가면 동궁과 월지, 황룡사지, 계림 등을 보게 된다. 이들 유적지가 무질서하게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발굴조사와 옛 지형 연구를 통해 밝혀진 모습을 이해하면 더욱 재미있게 신라의 수도를 둘러볼 수 있다.

신라 주요 유적지가 있는 인왕동, 교동, 황성동 일대의 경주 시내는, 우리나라에서도 대표적인 선상지(扇狀地)이다. 선상지란 산에서 흘러내리는 강에 의해 운반된 자갈, 모래 등이 양쪽으로 퇴적되면서 만들어진 부채꼴 모양의 지형을 말한다. 지금은 개발로 인해 지형이 바뀌었지만 1천500여 년 전에는 편평한 선상지가 펼쳐지고, 선상지를 동에서 서로 흐르는 북천(北川)과 남천(南川), 그 주변의 이러진 많은 물줄기가 마치 거미줄처럼 형성되어 있었다.

현재는 볼 수 없는 당시 지형 모습이나 하천의 흔적은 발굴조사를 통해 찾을 수 있다. 발굴조사를 무덤이나 집자리의 흔적과 당시의 유물만 찾는 것으로 흔히 알고 있지만, 여러 가지 관찰과 분석을 통해 당시 자연환경과 사람이 활동했던 시간까지도 알 수 있다.

이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발굴조사법이 트랜치(trench)법이다. 길쭉한 직사각형의 도랑을 파고, 도랑의 벽에 보이는 흙이 쌓인 층들과 각 층에 있는 무덤, 집자리 같은 유구(遺構), 유물, 동·식물 유체(有體) 등을 분석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흙이 쌓인 층에서 모래띠, 곡선형의 퇴적층, 뻘층과 같이 물이 흐르거나 주변으로 퇴적될 때 생기는 흔적을 통해 당시 하천이나 늪 등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발굴을 통해 알려진 경주 시내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선사시대를 거쳐 기원후 약 6세기 중엽경까지는 거미줄처럼 형성된 물줄기와 여러 늪 또는 습지가 형성되어 있는 선상지였다. 경주지역 내 청동시시대에 만들어진 고인돌의 위치와 황남대총 등 5세기대에 집중적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봉토를 가진 무덤의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선상지 내 물줄기와 늪 또는 습지를 피해서 자리잡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무덤이 없는 곳에 물이 흐르고 습지가 있었다고 머릿속에 그려보면 1천500여 년 전 경주의 모습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에 따르면 101년에 축성했다고 전해지는 신라의 궁성(宮城)인 월성이 반달 모양의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해서 조성된 점도 지석묘, 무덤과 맥을 같이 한다.

정인태​​​​​​​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정인태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그럼 언제부터 지금의 경주 시내와 같은 모습이 되었을까? 또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17만호의 집이 있었던 적은 언제일까? 그 비밀은 황룡사(皇龍寺)에 있다. 황룡사는 진흥왕 14년인 553년에 처음 짓기 시작해서 17년 만인 569년에 완성하였다고 전해진다. 원래 새로운 대궐을 지으려고 했으나 황룡이 나타나 절로 지었다는 것에서 국가사찰임을 알 수 있다.

이 황룡사의 발굴조사를 통해 물이 흐르고 습지가 있었던 땅을 최대 2m까지 매립하여 절을 지었음이 밝혀졌다. 황룡사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도로와 담장, 집 등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면서 당대 동아시아에서 손꼽히는 대도시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경주에서 대규모 도시 조성사업이 벌어진 6세기 중엽은 고구려, 백제를 치고 한강을 차지하면서 최대 영토를 가지게 된 시기이다.

옛 안압지(雁鴨池), 지금의 월지(月池)는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유적지 중 하나로, 밤에는 조명이 켜져 주말이 되면 인생샷을 찍으려는 사람들로 가득하다. 월지는 7세기 후반에 가장자리를 돌로 쌓아 만든 인공 연못이지만 그 이전에는 작은 하천이 흐르고 만나며, 늪지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아름다운 이 연못이 왕경에서 어떠한 기능을 했는지, 궁금증을 풀기 위한 발굴조사가 지금 한창 진행 중에 있다. 1천500여 년 전 신라 천년 수도 경주의 모습이 점점 드러나는 걸 함께 느껴보시길 바란다.

경주문화재연구소의 신라 속 ‘숨은그림찾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