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번에 발표한 시범사업 대상지는 전국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거쳐 올해 4월 선정 심사위원회에서 사업의 시급성, 효과성 등을 고려해 선정됐다. 시범사업 대상지는 대구와 포항을 비롯해 부산, 인천, 광양, 용인, 김해 등 7곳이다. 내년까지 총 사업비 325억원(국비50%, 지방비40%, 자부담10%)이 투자된다. 대구 염색·서대구산단의 섬유염색가공업, 북구 제3산단·침산공업지역의 도금업, 포항철강산단의 철강업 사업장은 오래된 비산배출 방지시설과 후드·덕트 등의 교체를 지원한다. 환경부는 시설개선 후 운영관리를 상시로 점검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측정기기를 부착하고, 환경기술인의 관리능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진단을 지속하기로 약속했다.
정부가 말한 것처럼 이번 사업으로 대구와 포항에 위치한 산업단지들이 도시악취의 근원지라는 오명을 씻고 쾌적한 곳으로 재탄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동안 대구에서는 염색산단, 서대구 산단, 북구 3산단, 침산동 도금업체등이, 포항에서는 철강산단 입주 업체들이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돼 왔다. 이들 산단 입주업체들과 지방자치단체가 다양한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악취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 왔지만 주변 주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지역별로 대기오염물질과 악취 등을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돼 고질적인 민원을 더이상 제기할 필요가 없었으면 한다. 이 사업을 계기로 악취발생 산업단지들은 공단시설물을 투명하게 개방하고 지역사회와 격의 없는 소통을 해서 공단이 환경오염의 근원지라는 선입견을 해소하고, 친환경적인 공단 이미지를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