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화상병은 나무의 세균성 전염병으로 나무가 불에 타 화상을 입은듯 검게 그을린 증상을 보이다가 나무 전체가 말라죽는 치명적인 병이다.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제가 없어 일단 발생하면 전염병 방지를 위해 나무 전체를 뿌리째 뽑아 땅에 묻어야 한다.
안동에서는 지난 4일 길안면 한 사과농장에서 처음 이 병이 발생한 것이 확인된 이후 5일만에 10곳이 더 늘어났다. 재배면적으로는 65ha에 7천여 그루며, 그 중 484 그루가 확진된 것으로 밝혀졌다. 확진된 나무는 현재 당국에 의해 매몰작업 중에 있다고 한다. 경북도와 안동시, 농촌진흥청 소속 공무원 등이 도내 전역에 걸쳐 정밀 예찰작업에 나고 있으며 도내 시군에서는 농장비와 인력 등에 대한 소독을 의무화하는 등 행정명령을 발동한 상태다.
안동을 비롯 경북은 국내 사과 주산지다. 국내 전체 사과의 65%가 이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경북도내 사과재배 농가들은 이 병이 발생하자 벌써부터 가을철 사과수확을 걱정하는 등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이 병은 한번 걸리면 나무를 통째로 매몰하고 매몰한 그곳에는 3년간 나무를 심을 수 없다. 제대로 과일이 결실을 맺으려면 적어도 5년이 지나야 하는 등 사과나무에는 아주 치명적 피해를 입히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에 의하면 현재 국내 과수화상병은 충청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경북지역은 충청지역으로부터 그 피해가 넘어와 확산하는 추세에 있다고 하니 경북은 이 병의 확산 방지에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야 한다. 초기 진압이 가장 중요하다.
과수화상병은 기온이 25∼27도 사이에 주로 확산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달까지는 광범위한 예찰 활동과 방제에 총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행정력이 많이 소모되고 있다. 그러나 과수나무에서 발생하는 이 병에 대한 관리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일이다. 도내 농가들의 생업이 달린 사안으로 당국의 노력에 따라 피해를 줄이고 예방할 수 있는 일이다. 과수나무의 에이즈로 불리는 이 병의 확산 방지에 당국의 관심을 다시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