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유흥주점발 코로나 확산, 선제 대응으로 맞서야

등록일 2021-05-25 20:13 게재일 2021-05-26 19면
스크랩버튼
지난 19일 확진자가 처음 나온 대구 유흥주점발 코로나 확산세가 일주일째 이어져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 19일 6명이 처음 확인된 데 이어 20일부터 13명-47명-48명-48명-40명으로 연속 이어지고 25일에도 전체 발생 29명 중 21명이 유흥주점발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가 179명이다. 특히 지난 23일 대구에서 확인된 57명의 신규 확진자 수는 신천지발 코로나19가 확산되던 지난해 3월 31일 이후 가장 많았다.

대구시는 유흥주점발 코로나 확산세가 퍼지자 시내 3천300여 유흥시설에 대해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고 합동점검에 나섰다. 그러나 발생 일주일이 지난 현재도 두 자리 수 발생이 이어져 확산세 잡기가 쉽지 않은 모양새다. 지금 상태로 가면 멀지 않아 병상 가동률이 급격히 올라갈 것도 예상된다. 대구시는 이에 대비해 생활치료센터 개소도 검토중이라 한다.

특히 대구에서 발생한 유흥주점발 코로나19가 아직은 확인 단계이지만 변이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높아 걱정을 더 키우고 있다. 기존의 집단감염보다 전파 속도가 빠르고 초기 확진자들이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한 지역을 방문한 이력이 있어 현재로서는 그럴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대구시는 현재 변이 바이러스 여부를 가리기 위해 질병청에 검사를 의뢰 중이다.

그러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확인은 질병관리청에서만 총괄하고 있어 확인까지 소요기일이 5일 정도 걸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즉각적 대응도 쉽지가 않은 상태다.

현재 대구시는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유흥업소 관련자는 기존 확진자와 구분해 치료하고 있으며 자가격리자에 대해서도 엄격한 관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알려진대로 유흥주점발 코로나 확진자 대부분이 20∼30대의 젊은층이다. 사회경제적으로 활동이 활발해 당국의 선제적 조치에도 지역사회에 대한 감염 우려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또 대구와 왕래가 잦은 인접 경북지역에 대한 방역 관리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다. 경북은 일부 시군에서 5인이상 사적모임 금지를 해제한 상태라 더욱 경각심이 요구된다 하겠다.

국내적으로 백신접종률이 아직은 부진하다.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방역당국의 철저한 사전 예방조치로 상황 악화를 막아야 한다.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