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동서교통망 구축에 한 목소리 내는 지자체들

등록일 2021-05-17 18:44 게재일 2021-05-18 19면
스크랩버튼
지난 14일 경북도 의회와 전라북도 의회는 양 지역을 연결하는 SOC 사업의 조기 건설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에 서명하고 두 지역은 앞으로도 협력과 상생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약속했다.

경북과 전북을 잇는 전주-김천간 철도사업과 전주-무주-성주-대구간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두 지역의 오랜 숙원 사업이다. 그러나 두 SOC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선정되지 않거나 비용편익분석의 벽을 넘지 못해 국책사업에서 번번이 제외됐다. 대구-광주간 달빛내륙철도 사업처럼 경북과 전북을 잇는 동서교통망 역시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정부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지 못하고 십수 년을 허송세월하고 있다.

같은 날 서울 국회의사당 앞에서는 경북도와 충북, 충남 등 3개도 12개 시군 시장군수와 국회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중부권 동서횡단철도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결의대회가 열렸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는 경북울진-봉화-영주-청주-서산을 잇는 330km 길이의 철로로 3조7천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된다. 이날 엄태항 봉화군수는 “봉화군이 지방소멸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SOC 사업뿐”이라고 말했다. 달빛 내륙철도와 전주-김천간 철도사업, 또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등은 이제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지역의 절박한 숙원사업이 됐다. 숨이 목 턱까지 찬 사업이다.

올해 국가사업에 반영되지 않으면 이 사업은 국가 심사기준에서 영원히 멀어질지도 모른다. 인구와 경제력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마당에 허약해진 지방의 경제구조로서는 비용편익분석의 벽을 넘기란 불가능하다.

대구-광주간 달빛내륙철도가 그러했고 김천-전주간 철도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도 마찬가지다. 지방의 초라한 현실을 정부는 국토균형개발이라는 안목에서 바라보지 않는다. 기존의 잣대로만 저울질한다. 6월 확정되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지방의 단체장들이 이처럼 목숨을 걸고 있는 것은 지방의 사정이 더 참을 수 없이 심각해진 탓이다.

수도권 일극체제로는 한국의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자꾸 수도권으로 정책을 집중하는 국가사무의 모순에 허탈감만 커진다. 자치단체가 공동 대응에 나서는 시대상황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