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본發 방사능 공포’ 어시장에 직격탄

등록일 2021-04-25 19:46 게재일 2021-04-26 19면
스크랩버튼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가 되살아나면서 최근 경북 동해안 최대 어시장인 포항 죽도시장이 심한 타격을 받고 있다. 소비자들이 죽도시장에서 혹시 일본산 해산물을 판매하고 있지나 않은지 의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지 기자가 현장을 취재한 결과, 고객들이 해산물을 가리키며 “이거 일본산 아니에요. 왜 이렇게 커요?” 등의 질문을 하며 구매를 꺼리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수산업계에서는 “일본이 끝내 오염수를 버린다면 수많은 우리 어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채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하루하루를 고통 속에서 살아야 할 것”이라며 불안해 하고 있다. 수산물이 생계수단인 어민들과 어시장 상인들은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와 2013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 때도 큰 피해를 보았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능 오염수를 2023년부터 약 30년 동안 태평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혔으며, 우리나라와 중국, 대만 등 인접국가가 강경대응하고 있다. 해양연구기관에 의하면 일본이 오염수를 일부 처리해 태평양에 방류한다면 약 229일 후에 제주도에 도착한다고 한다. 방사성 물질은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체내에 축적되면 심각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우리 국민의 공포감은 한층 증폭되고 있다.

수산업계가 현재 절망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일본의 결정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수단이 사실상 별로 없다는 점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일본을 제소하는 걸 검토하라”고 지시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승소여부도 장담할 수 없어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렇다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이런 때일수록 국제사회와 공조를 더욱 강화하여 오염수 해양방류 저지를 위해 적극적이고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 우리가 후쿠시마 현지에서 직접 시료를 가져와 측정하거나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공동으로 검증하는 작업도 효과적일 것이다. 경북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도 소비자들이 수산물을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 확대와 수산물 원산지 허위 표기 단속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