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0년 대구지역 경제현황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대구지역 경제성장률은 -7.9%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돼 1998년(-9.9%) 이후 가장 부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제적 타격이 심각할 것이란 짐작은 했으나 대구경제 성장률이 이처럼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은 놀랍다.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이 밝힌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1.0%와 비교하면 상대적 박탈감 또한 심각하다.
대구상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중소제조업의 평균 가동률은 64.5%로 전년보다 5.9%p가 떨어졌으며, 업종별로는 전자부품을 제외하고는 전 업종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지역의 주력업종인 섬유업(-18.2%), 기계장비(-16.9%), 자동차(-13.8%) 등이 모두 큰 폭 감소했다.
통계 작성 이후 한 번도 감소한 적이 없던 서비스업 생산도 지난해는 2.9%가 감소했다. 수출액과 수입액이 동시에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30.2%가 줄었다. 대구지역 산업단지 생산액도 전년보다 13.1%가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기간 국가 전체 흐름과 비교했을 때 백번 양보하고 해석하더라도 대구의 경제성과는 초라하기 짝이 없다. 대구지역 산업구조의 취약함이 여실히 드러낸 결과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대구시와 대구상의 등 지역경제단체를 중심으로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를 악무는 각오없이 이같은 흐름을 바꾸기는 어렵다.
정치적으로 소외가 지속되고 부산 가덕도 공항 건설과 같은 대구경북 경제에 불리한 환경 등이 잇따라 조성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지역경제를 살릴 묘안 찾기가 급하다.
때마침 이재하 대구상의 회장이 연임에 들어갔다. 한차례 거친 대구상의 회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 세련되고 완숙한 능력으로 대구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면 한다. 경제 주체가 발벗고 뛰고 대구시나 정치권은 문제 인식을 같이해 그들을 도와야 한다. 이번이 대구경제에 대한 심각성을 다시 인식하는 절실한 계기가 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