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새로운 소비문화 배워야 전통시장 살 수 있다

등록일 2021-03-18 19:50 게재일 2021-03-19 19면
스크랩버튼
대구시내에 있는 전통시장 150곳 중 41.3%인 62곳이 시장 기능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충격적이다. 대구시 실태조사에 의하면 시내 전통시장 중 39곳은 공실률, 상인 수 등의 지표로 평가할 때 시장기능을 완전히 상실했으며, 23곳도 곧 같은 처지에 놓일 위기에 있다. 예를 들어 역세권에 있는 달서구 송현시장은 교통요충지임에도 불구하고 점포 2곳, 노점 6곳 등 8곳만 장사하고 있고, 성당동 구마시장은 상인 6명이 6개 점포에 종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모두 문을 닫고 임차인을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리동 본리시장도 점포 2곳 외에 모두 문을 닫아 시장 기능을 사실상 상실했다.

대구시의회에서도 최근 “상당수 전통시장이 기능을 상실해 명맥만 이어가고 있고, 재정비사업을 기대하며 빈 점포가 방치돼 있다. 남은 상인들은 슬럼화와 화재위험으로 생계조차 위협을 받는다”며 집행부에 문제제기를 했다. 대구시가 매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엄청난 예산과 노력을 쏟아 부었지만 그 결과는 신통치 않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편의시설이 개선되면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찾을 것으로 판단하고 아케이드 설치와 주차장 설치, 화장실 정비 등 시설환경개선사업에 주력해 온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전통시장을 비롯해 서민들의 삶의 터전인 골목상권이 수도권 인구집중화와 대형 유통자본 등으로 인해 하나 둘 붕괴하는 현상은 아쉽기 짝이 없다. 대도시 전통시장은 그동안 우리나라 서민경제의 실핏줄 역할을 해 왔다. 어떤 방식으로든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한 골목상권은 살려야 한다.

대구시내 전통시장의 쇠퇴원인도 다른 비수도권 대도시의 경우와 대동소이할 것이다. 쉽고 편리한데 익숙한 젊은 층의 소비패턴, 대형 유통업체들의 시장 장악 등이 큰 원인일 수 있지만, 상인들이 유통시장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측면도 강하다. 특히 소비를 주도하는 30~40대의 문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이 나오고 있다. 단적인 예를 들면 위생에 대한 인식이다. 전통시장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도 있어야 되겠지만 일차적으로 상인들이 주체가 돼 새로운 소비 흐름을 배우고 시장을 변화시켜야 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