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AZ백신 부작용 논란 확대… 접종률 떨어질라

등록일 2021-03-18 19:50 게재일 2021-03-19 19면
스크랩버튼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고 혈전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잇따르자 유럽 많은 국가들이 백신접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등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AZ 백신 접종을 한 60대 여성에게 혈전이 발견되는 사례가 뒤늦게 보고되면서 시중에는 AZ 백신 접종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유럽연합 27개국 중 오스트리아, 독일 등 18개국이 AZ 백신으로 인한 혈전 생성 가능성을 우려해 예방적 차원에서 접종을 중단하고 있다.

이런 논란이 이어지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으로 얻을 이익이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성보다 크기 때문에 접종을 지속하라”는 권고냈다. 우리나라 질병관리청도 “백신을 맞고 숨진 사람에게 혈전이 생긴 것이 사망의 원인인지 확인되지 않는다”며 “백신 접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AZ 백신은 출시 과정에서부터 효능성을 두고 논란이 있어온 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백신이란 점 때문에 혈전 논란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62만여명이다. 이 중 95%가 AZ 백신을 맞았다. 또 2분기 도입이 확정된 백신의 57%가 AZ 백신으로 예정돼 있어 AZ 백신 접종으로 인한 혈전 논란이 미칠 심리적 불안감은 높다 하겠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백신 접종이 2분기에 시작할 예정으로 있어 고위험군에 대한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이상반응 등 의심사례 신고 건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우리나라는 하루 400명 안팎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3차 대유행의 고리가 잡히지 않고 있다. 집단면역 형성이 예정대로 이뤄져야 대유행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혈전을 둘러싼 백신 접종 논란은 분명히 악재다. 보건당국의 신뢰가 중요하다.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나 사망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또 고위험군 접종 대상자에 대한 치밀하고 신중한 관리도 있어야 한다.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떨어지면 접종률을 끌어 올릴 수 없다. 혈전과 백신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전문가 견해를 정확히 밝히고 필요하다면 속도보다 안전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백신에 대한 정책 신뢰가 무너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