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들썩이는 물가… 서민가계 위협한다

등록일 2021-03-11 20:01 게재일 2021-03-12 19면
스크랩버튼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을 받은 휘발유, LPG 등 국내 에너지 요금의 오름세가 장기화하면서 서민생활에 미칠 여파가 심상찮아 보인다. 특히 에너지 가격의 상승은 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과 전기, 도시가스 등의 생활요금 인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 서민들의 가계 부담을 벌써 압박하고 있다.

지난해 8월부터 꾸준히 오름세를 보인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시중에는 햄버거, 빵, 즉석밥 등 가공식품 가격은 이미 많이 올랐다. 이런 가운데 에너지 요금 상승이 겹치면서 올 들어 생활물가 전반에 걸쳐 불안감이 확산되는 분위기여서 걱정이다. 버스나 지하철 요금의 인상이 불가피할 것 같다는 전망도 나와 서민들을 우울하게 한다.

직장인이 사먹어야 하는 시중의 점심 식사가격은 올 들어 이미 많이 올랐다. 웬만한 식사 한 끼는 이제 1만원 정도는 주어야 먹을 수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영업이 어려워진 식당업주로서는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하겠으나 알게 모르게 시중의 물가는 조금씩 오르고 있는 것이다.

물가가 오르면 가장 먼저 고통을 받는 사람은 취약계층민이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서민들의 일자리가 많이 사라졌다. 소득도 전년보다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소득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은 13.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줄어든 서민의 입장에서 물가 상승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최근 발표되는 정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용상황도 최악이다.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쪽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물가는 오르고 소득이 줄어드는 이른바 삶의 질이 떨어지는 나쁜 환경이 당분간 지속될 것 같아 보인다. 물가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지금 있어야 할 때다. 물가지표상으로는 아직 심각한 단계에 이르지 않았으나 물가당국은 지표만 보지 말고 서민들에게 민감한 생활물가의 동향에 더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야 한다. 정부가 보유한 물량을 풀어 가격의 안정을 꾀하는 것과 같은 당국의 신속한 물가 대응 정책이 있어야 한다.

마침 정부가 코로나 지원금을 풀겠다고 하니 마구잡이로 집행말고 실효성 있게 사용하여야 한다. 정말로 어려운 서민에게 지원금이 돌아가게끔 하여야 한다. 물가만큼 서민에게 민감한 문제도 잘 없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