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를 비롯 부산, 울산, 광주, 충남 천안, 아산 등 6곳에 설치되는 임시선별검사소는 오는 4월까지 운영된다. 운영 후 내용을 평가한 뒤 추가 운영여부도 앞으로 검토키로 했다고 한다.
대구에는 국채보상공원에 임시선별검사소가 설치될 것으로 보이며, 운영은 8개 보건소가 합동으로 맡는다.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증상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고 익명검사도 가능하다.
3차 대유행이 시작한 수도권은 현재 98개소의 임시선별검사소를 운영하고 있다. 약 3개월간 이곳에서 검체한 검사건수는 242만여건으로 일 평균 2만8천여건에 달한다. 현재까지 발견된 확진자 수는 총 6천522명으로 양성율이 0.27%다. 같은 기간 전체 확진자 수의 약 13%에 해당한다.
보건당국은 수도권의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으로 지역내 숨어 있던 조용한 감염원을 찾아내는 성과를 냈다고 분석한다. 이번에 지역으로 임시검사소를 확대 설치하려는 것도 숨은 감염원을 미리 찾아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의 4차 대유행을 사전에 막아 보겠다는 것이 주 목적이다.
지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은 3차 대유행이 넉달 가까이 진행 중이다. 10일 현재 신규 확진자는 470명이 발생해 전날에 이어 400명대를 유지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신규 확진자가 점차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나 400명대 안팎이라는 여전히 높은 선을 유지하고 있다. 정체 상태라고 말하고 있지만 아슬아슬한 상황이 되풀이 되는 국면이라고 말하는 것이 오히려 솔직하다.
확진자 발생도 축산물공판장, 공동어시장, 제조업체, 병원과 어린이집 등 일상 공간 어느 곳이든 상관없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무증상의 감염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임시선별검사소를 통한 감염병 차단 병행 노력이 필요하다. 수도권에서는 10일 하루동안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확인된 확진자가 수도권 전체의 21%에 달했다. 국내 누적 확진자 수가 9만3천명을 넘었다. 위중한 상황이지만 거리두기와 백신접종 외 뾰쪽한 대책이 없다. 임시선별검사소를 통해 숨은 감염자를 찾아내는 것도 좋은 방책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