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백신접종 오락가락… 국민 불신해소 도움 안 돼

등록일 2021-03-09 20:18 게재일 2021-03-10 19면
스크랩버튼
지방 자치단체장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접종 연기를 두고 논란이 빚어졌다.

질병관리청이 당초 지자체장도 AZ백신 접종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가 뒤늦게 이를 번복하는 바람에 백신접종을 준비했던 전국의 일부 지자체장이 백신을 맞지 못하는 해프닝이 벌어진 것이다.

대구에서도 권영진 대구시장이 8일 오전 백신접종을 준비했다가 질병관리청의 번복 결정으로 백신을 맞지 못했다. 이에 대해 시당국은 질병관리청의 오락가락하는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질병관리청은 단체장의 백신접종 연기가 백신물량이 충분하지 않고 이런 가운데 지자체장에 대한 백신접종은 특혜시비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해명이다.

그러나 지자체는 단체장은 시단위 재난안전대책본부장으로서 지난 1년여 역할을 수행한 것만으로 백신접종 특혜시비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권영진 시장도 그의 SNS를 통해 “특혜라면 당연히 맞지 않는 것이 옳은 일이지만 지금은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우려와 불신을 해소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백신접종 연기에 대해 아쉬워했다.

지난달 26일부터 시작한 백신접종은 이상 반응과 의심 사망자 등으로 백신접종에 대한 불신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3천900건이 넘는 이상반응이 보고됐고 의심 시망자도 11명에 이른다. 대구와 경북에서도 2명의 의심 사망자가 발생했다. 질병당국이 백신접종과 인과관계가 없다고 밝히지만 정확한 원인 규명이 안 되고 있어 백신접종에 대한 불신은 당분간 이어질 분위기다.

코로나19 사태는 현재로서는 백신접종이 가장 유일한 대응수단이다. 가능한 많은 국민이 백신접종에 참여하고 정부가 계획한대로 11월 집단면역이 형성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가뜩이나 늦은 백신접종에 마음이 바쁘다. 국민들이 가진 백신접종에 대한 불신해소가 지금으로서는 매우 중요하다.

권시장의 “총리를 비롯한 장관과 전국의 시도지사가 직접 백신을 맞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드리는 것이 국민적 우려를 덜어 드리는 것”이라는 말에 공감이 간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 방역에 모든 방점을 두고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방역 원칙과 틀리는 어떠한 결정에도 동요돼선 안 된다. 그것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일이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