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화상들 그리십시다

등록일 2021-02-15 18:43 게재일 2021-02-16 19면
스크랩버튼
유영희<br>인문글쓰기 강사·작가<br>
유영희인문글쓰기 강사·작가

4년 전 이맘때 연필로 인물화 그리기 수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 다른 수강생들은 배우자, 자녀, 손자, 아니면 친구를 그리는데, 나는 주야장천 내 얼굴만 그렸다. 문득 그때가 떠오르면서 자화상을 그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궁금해졌다.

‘자화상의 비밀’의 저자 로라 커밍에 의하면, 초상화든 자화상이든 인물화는 역사적으로 하위 장르로 취급되었다고 한다. 거기에 더해 자화상은 초상화보다 더 하위로 평가받았다고 한다. 화가가 자기 모습을 그릴 때는 보여주고 싶은 모습대로 그릴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리라. 실제로 100여 점의 자화상을 남긴 렘브란트는 자화상을 그릴 때 대담하게 변칙을 했기 때문에 실제 모습과 많이 달라서, 그의 실제 모습은 다른 화가들이 사실적으로 그린 초상화를 통해서만 짐작할 수 있다고 한다.

따지고 보면, 남이 그려준 초상화라고 해서 사실대로 그려진다는 보장은 없다. 조정래의 ‘어느 솔거의 죽음’이라는 중편 소설에서는 성주가 어느 화가에게 자기 초상화를 의뢰했다가 화가가 성주의 비열한 내면까지 표현하자 그를 죽이는 장면이 나온다. 후원자나 권력가 같은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인물의 초상화를 그릴 때는 미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아무래도 자기를 그린 자화상보다는 다른 사람을 그린 초상화가 사실에 가까울 가능성은 많다.

그렇기에 로라 커밍이 자화상의 가치를 강조하는 지점은 사실 여부가 아니다. 자화상은 다른 종류의 진실을 보여준다. 그녀는 아무리 못 그린 자화상이라도 이미지로 전환되기 이전의 인물과 마주하는 느낌을 준다고 한다. 렘브란트의 자화상이 실제 모습이 아니라고 해도 그의 자화상에서는 쉴 새 없이 바뀌는 변덕스러움, 하루하루 경험에 따라 수없이 바뀌는 인물의 성격과 같은 심층적인 진실을 느끼게 해준다는 것이다. 사실대로 그린 초상화에서는 표현될 수 없는 진실이 표현되어 있다.

화가들이 자화상을 그린다고 해서 명예를 얻거나 돈을 만질 수는 없었기 때문에 자화상은 대부분 친구에게 주는 선물이나 감사, 사랑 등 내밀한 표현 욕구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화가들의 표현 욕구는 결국 세상과 소통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그가 무엇을 표현했는가 하는 것은 그를 이해하는 단서가 된다. 그러고 보니, 4년 전 내가 그렇게 자화상을 그려댄 것은 세상과 어떤 모습으로 소통할까 고민 중이었기 때문이었나 보다.

이청준의 ‘자서전들 쓰십시다’에서 남의 자서전을 대필하며 살아가는 주인공 진욱은 자서전 대필에 염증을 느낀다. 그는 스스로 쓰는 진솔한 자서전만이 영혼과 성찰을 담고 있다면서 결국 모든 대필 의뢰를 거절한다. 물론 자화상처럼 자서전도 사실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나 자서전으로 우리는 그가 무엇을 표현하고 싶었는지 이해한다.

70이 넘어 처음 배운 한글로 삐뚤빼뚤 쓴 편지 한 장도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훌륭한 자서전이 되듯이 나를 전혀 닮지 않은 서툰 자화상도 세상과 소통하는 멋진 통로가 된다. 그러니 우리 신축년에는 자신의 영혼을 위해, 그리고 세상과 만나기 위해 ‘자화상들 그리십시다.’

유영희의 책갈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