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민생경제 활성화 대책 성과 있기를

등록일 2021-02-09 18:32 게재일 2021-02-10 23면
스크랩버튼

이강덕 포항시장과 주낙영 경주시장은 8일 각각 비대면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을 골자로 하는 민생경제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1년 이상 지속된 코로나19 여파로 피해를 입은 지역 내 상인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예산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골목상권 등 침체된 지역경제 회복에 나서겠다는 내용이다.

포항시는 총 7천억원 규모의 예산을 푼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업종은 물론 간접 피해를 입은 업종도 예산 지원 대상이다. 포항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진 단란주점 등 565개 업소에 대해 각각 200만원을 지원한다. 또 시간제한으로 피해를 입은 식당이나 카페, 노래연습장 등 1만1천303개 업소에 대해서는 100만원씩을 지원키로 했다.

경주시도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진 251개 업소에 대해 200만원을, 식당 등 9천168개 업소는 각 10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내 각 지자체가 코로나 사태로 벼랑 끝에 몰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지방소재 지자체 예산으로 이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특히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와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 이후 자영업자 등의 영업 손실이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는 마당이라 지자체의 고민도 그만큼 커진 상태다.

포항시와 경주시가 발표한 민생경제 활성화 대책은 이런 점에서 파격적이면서 용기 있는 대책이라 하겠다. 포항시와 경주시는 가용한 재원을 모두 모아 민생대책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예산이 많은 수도권과는 달리 지방의 지자체가 취약한 재정난을 극복하면서 서민경제 활력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만으로도 칭찬 받을만 하다.

포항의 경우 코로나 1년 동안 5천862군데 업소가 폐업을 했으며 점포 공실률이 24%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서민경제는 고사 상태에 빠지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추가 도산도 불을 보듯 뻔하다.

지금 서민 경제는 최악의 상황이다. 설날이 코앞에 닥쳤는데도 시장 경기는 썰렁하다. 대목 경기가 사라져 상인들의 한숨 소리만 높게 들린다. 서민경제 회복을 위한 지자체의 뼈 깎는 노력들이 서민경제에 스며들어 성과를 내길 간절히 바란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