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리 증후군은 과도한 신분상승 욕구 때문에 타인에게 거짓말을 일삼다 결국에는 자신마저 속이고 환상 속에 살게 되는 유형의 인격장애 현상을 뜻한다. 거짓말이 탄로 날까 봐 불안해하는 거짓말쟁이와는 다르다. 리플리 증후군을 보이는 사람은 자신이 한 거짓말을 진실로 믿게 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1955년 미국의 작가 하이스미스가 쓴 범죄소설 ‘재능있는 리플리씨’에서 따온 이름이다. 이 소설은 주인공인 톰 리플리가 재벌의 아들이자 자신의 친구를 살해하고 자신이 그의 인생을 대신해 사는 내용을 줄거리로 했다. 담대한 거짓말과 행동으로 살던 리플리는 어느 날 친구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그의 인생도 막을 내리게 된다.
1960년 알랭들롱이 주연한 ‘태양은 가득히’가 이 소설을 원작으로 영화화해 크게 흥행하면서 리플리 증후군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신정아 학력위조 사건이 리플리 증후군을 알린 사건으로 유명하다. 신씨가 예일대 박사학위와 학력을 위조해 대학교수와 국제비엔날레 총감독에 지원하다 가짜임이 드러난 사건이다. 영국의 한 언론은 당시 이 사건을 두고 능력보다 학벌이 중요시되는 한국사회의 병폐가 드러난 사건이라 꼬집었다. 심리학자들은 리플리 증후군은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욕구가 극에 달해 발생된다는 점에서 시대혐오의 ‘사회병’이란 분석도 내놓는다. 양극화 등 갈수록 불평등해지는 우리 사회의 구조가 리플리 증후군에 노출돼 있다는 해석도 가능한 말이다.
김명수 대법원장의 거짓말을 둘러싼 후폭풍이 일파만파다. 사법부 수장이 거짓말 한 사실이 드러나 국민적 거부감이 크다. 국민의 다수가 이 사건으로 사법부에 반감을 갖게 된다면 리플리 증후군처럼 우리 사회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