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시인보호구역’

등록일 2021-02-02 19:24 게재일 2021-02-03 19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2020년 10월 5일부터 대구 문화방송국에서 ‘시인의 저녁’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언뜻 들으면 생뚱맞을지도 모르겠다. 요즘 세상에 누가 시를 읽는다고 ‘시인의 저녁’이란 말인가?! 하지만 그것은 ‘시사와 인문학이 있는 저녁’의 줄임말이다. 대략 40분 남짓한 시간 앞부분에는 시사를, 뒷부분에서는 인문학을 다룬다. 다채로운 손님을 모셔다 여러 가지 세상 이야기를 주고 받는 시간이어서 호응도 제법 좋은 편이다.

지난주에는 인문-예술공동체 ‘시인보호구역’의 대표인 정훈교 시인과 함께 대구와 경북의 인문학, 특히 시를 둘러싼 문제를 함께 생각해보았다. 요즘에는 신춘문예나 문예지를 통해 등단한 시인뿐 아니라, 자가 출판한 사람도 시인으로 인정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등단 여부와 무관하게 시인으로 인정받고 활동하는 사람이 늘었다는 의미다. 문제는 시를 읽는 사람들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그나마 소설은 어느 정도 호응이 있지만, 시나 희곡 분야는 그야말로 설한풍(雪寒風)이 불고 있다 한다. 하기야 나 같은 사람도 시집을 산 지가 꽤 오래전 일이니까 문자 그대로 유구무언이다. 나는 우리나라 독자들이 시를 읽지 않는 데에는 까닭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하나는 문학 전반에 관한 독자들의 처절할 정도의 무관심과 냉소일 것이다. 대학입시에 필요한 정도의 독서가 끝나면 책과 멀어지는 염량세태가 사태의 본질 가운데 하나다.

다수 대중은 말도 안 된다고 하면서도 텔레비전의 ‘막장드라마’와 철 지난 트로트 열풍에 휩쓸린다. 왜냐면 단순하되 재미있고, 시간 보내기에 안성맞춤이며, 화제로 삼기에 이것보다 더 좋은 질료(質料)가 없기 때문이다. 화제가 궁한 사람들에게 그야말로 무궁무진한 이야깃거리를 제공하는 가볍고 유쾌하며 부담 없는 오락 프로그램 아닌가.

그에 비하면 문학, 특히 요즘의 시는 난해하기 이를 데 없다. 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지 도통 알아먹을 수가 없다. 명색이 문학 교수라는 나도 이해할 수 없는 구절과 문맥과 사유와 감성이 차고 넘치는데, 누가 이해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는 탄식이 절로 나온다. 친구 안사람이 시인으로 등단해서 상까지 받았다고 해서 기꺼운 마음으로 몇 편 읽다가 던져버렸다. 내가 한국인이 아닌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윤동주와 이육사,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편 가운데 정말 이해되지 않는 시가 있는가?! 한국의 독자들이 시를 외면하는 두 번째 이유는 시인 스스로가 자초한 것이다. 일찍이 ‘장한가(長恨歌)’의 시인 백거이는 ‘노구능해’라는 전범을 선보였다. 뒷집에 사는 늙고 문맹인 노파가 이해할 때까지 퇴고를 거듭했다는 백거이. 그런 자세를 진즉에 잃어버린 한국 시인들의 자승자박 자업자득 사필귀정이 독자의 상실이리라.

그러나 21세기에도 시인은 존중받고 사랑받아야 마땅한 귀한 사람들이다. 그들이 소멸하면 인간세(人間世)도 끝장이다. 자연 생태계의 깃대종처럼 시인은 저잣거리의 난잡함과 번다함을 저지하는 최후의 보루일 것이다. 시인을 ‘시인보호구역’에서 해방할 그 날을 고대한다.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