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가다 보니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진다. 단순히 학문적 호기심이 아니라 삶의 진정한 평화를 구하는 마음이 간절해지기 때문이다. 동양사상에서는 ‘물아일체’라고 하여 내가 대상에 몰입하여 나를 잊어서 나와 대상의 경계가 사라진 경지를 진정한 평화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선인들은 자연의 풍광 속에 흠뻑 빠져 자신을 잊은 경지를 노래했다. 그러나 그런 경지는 잠깐 동안의 흥취일 뿐 언제나 몸은 여기에 있고 자연은 저기에 있을 뿐이다.
대상과 내가 구분된다는 것을 그림으로 보여준 화가는 현대미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세잔이다. 파리에서 고향으로 돌아온 세잔은 ‘생트 빅투아르 산’을 반복해서 수십 점 그렸다. 리얼리즘을 추구한다던 세잔은 그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사과가 있는 정물을 그릴 때도 사과 배치에 몇 시간씩 걸리고, 붓질 한 번 하고 몇 시간씩 관찰하느라 그 사과가 썩을 만큼 시간이 오랜 시간 걸렸다고 한다. 그러니 생트 빅투아르 산을 그리는 데 얼마나 많은 힘을 쏟았을지는 상상하기도 힘들다.
그런 세잔이 ‘나 자신은 생트 빅투아르산의 의식이다’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이 말을 ‘나는 생트 빅투아르 산이다’라고 해석하고 산과 합일되기를 추구한다면, 그것은 물아일체 사상의 흔적일 것이다. 그렇게 자의적으로 ‘의식’이라는 단어를 생략해서는 안 된다.
‘세잔의 사과’는 현대 여섯 사상가들이 세잔을 해석한 책이다. 그저 ‘빨간 조끼를 입은 소년’ 이나 ‘사과가 있는 정물’ 정도의 그림만 알고 있다가 세잔에 대한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분석과 그의 작품에 담긴 풍부한 의미를 보니, 세잔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사물을 보는 눈이 한 꺼풀 벗겨지는 느낌이 든다.
이 책에 메를로 퐁티가 빠질 수 없는데, 그는 세잔의 그림을 탐색하며 자신의 철학을 만들어간 인물이기 때문이다. 메를로 퐁티 역시 “풍경이 내 안에서 그 자체를 생각하고, 나는 그것의 의식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이 말이 위 세잔의 말을 부연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메를로 퐁티의 이 말을 참고하여 세잔의 말을 해석하면, ‘외부 세계는 나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나는 생트 빅투아르 산에 대한 의식으로 존재한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나 자신은 생트 빅투아르 산에 대한 의식’이라는 말의 의미는, 세잔이라는 존재는 생트 빅투아르 산에 대한 의식 현상이라는 말이다. 세잔은 산과의 합일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생트 빅투아르 산의 본질을 화폭에 담기 위해 노력했다.
이렇게 ‘인간은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세잔은 인간은 의식이라는 현상으로 존재하며 그렇기에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는 존재라고 답하는 듯하다. 그렇게 완성된 산은 잡힐 듯하지만 잡히지 않는 존재로 저 멀리에 우뚝 서 있다.
처음에는 털끝 하나만큼 빗나가도 나중에는 천리만큼 멀어진다는 말이 있다. 인간은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무엇이 정답이다 단정할 수는 없지만, 세잔에게서 그 단서를 조금이라도 얻고 싶다면 단어 하나라도 허투루 지나칠 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