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초읽기에 들어간 포항시 인구 50만 붕괴

등록일 2021-01-05 19:33 게재일 2021-01-06 19면
스크랩버튼
포항시가 연초부터 비상이다. 경상북도 제1도시인 포항시의 인구가 50만명선 지키기가 매우 위태로워졌기 때문이다.

이강덕 포항시장과 간부공무원 등은 위중한 코로나 사태 속에서도 신년업무 첫날인 4일부터 포항시 51만 인구회복을 위한 시민염원탑 제막식을 먼저 개최했다. 포항주소갖기운동도 적극 펼치기로 했다. 포항시 인구 50만 붕괴에 대한 위기감을 널리 공감하고 지역사회의 동참을 호소키로 한 것이다.

인구감소는 국가 차원의 저출산과도 직결된 문제다. 포항시만으로 국한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50만명 선이 붕괴된다면 포항시가 받을 충격은 심각하다.

경북 제1도시의 위상이 크게 추락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행정조직의 축소와 지방재정 감소, 주택건설 사무권한과 같은 특례업무를 반납해야 한다. 지금 있는 비자치구 2개 구청이 없어지고 간부 공무원의 자리도 많이 줄어들게 된다. 경북도로 반납해야 하는 사무권한이 18개분야 42개 항목에 이른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법제화가 추진되는 인구 50만명 이상 도시에 부여될 특례시 혜택에서도 포항은 제외된다. 인구감소가 미칠 파장은 간단치가 않다. 도시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경제적 손실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포항의 인구는 2015년 52만4천여명을 정점으로 해마다 3천명 가까운 인구가 줄어 지난해 말에는 50만3천명선에 머물고 있다. 특히 15-39세 청년층의 인구 유출이 5년동안 2만여명 발생했다. 지금 추세대로면 올 연말이면 50만 붕괴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

포항시는 포스코가 들어서면서 철강산업 중심으로 인구가 늘어났으나 철강경기의 둔화 등으로 인구가 줄었다. 대체산업의 유치가 활발하게 전개되지도 못했다. 일자리가 부족하면서 젊은층이 대거 빠져나가 인구감소는 사실상 예견된 문제이기도 하다.

포항시 자체 인구만 두고 볼 때 포항시는 2019년부터 인구의 자연감소가 시작됐다. 신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노령화 구조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주민등록 이전과 같은 일시적 인구 증가도 필요하지만 산업유치를 통한 인구증가를 꾀해야 한다. 올해는 포항시가 구상하는 산업전략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 51만 인구 유지에 사활을 걸어야 할 때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