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조계종서 제기한<br/>환경 파괴·안전성 문제 등<br/>보완책 마련해 적극 협의 계획<br/>이번 주 자문 거쳐 입장 발표
대구시가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 추진 의지를 강하게 표명했다.
대구시는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사업과 관련 시민단체의 환경파괴, 안전성에 문제없고 대한불교조계종 측의 수행 지장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해 적극적인 협의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시는 구름다리가 들어설 곳에는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조계종 측에서 반대하고 있으나 최대한 설득하는 등 협의를 할 방침이지만 공사 추진에 대한 기본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덧붙였다. 시는 오는 21일까지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국비 25억원을 반납해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 이번 주 중으로 관련 전문가, 언론 등 자문을 거쳐 구름다리 설치사업과 관련한 견해를 밝힐 예정이다.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은 2016년 제6차 대구관광종합발전계획 수립시 한국관광공사에서 선도사업으로 제시해 7개 핵심전략사업 중 하나로 선정됐다.
시는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17년~2020년 기본 실시설계 용역을 실시하고 2018년 주민설명회와 환경영향성 검토, 경관심의에 이어 2019년 풍동실험을 실시했다.
특히, 지난해 시민원탁회의에서 참석자 60.7%가 다양한 관광자원 개발과 관광약자 접근성 개선, 일자리 창출 등을 이유로 찬성했다.
또 올해 4월 문화재현상변경과 9월 공원계획변경, 10월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보상 절차에 들어가는 등 관련절차를 추진하고 있으며 오는 21일 공사 계약을 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난 9월 시민단체의 ‘구름다리 백지화 성명서’ 발표에 이어 지난 12월 8일 대한불교조계종의 ‘구름다리 사업 철회 요청’ 등 반대 입장을 밝혔으며, 이에 지난 10일 팔공산 상가연합회의 ‘구름다리 지속 추진 요구’하는 등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를 두고 찬반이 팽팽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시민단체들의 케이블카 특혜제공 주장에 대해 이 사업과 관련해 케이블카 업체가 총매출액의 1.5%를 20년간 적립하는 등 총 3%를 사회공헌기금으로 적립하기로 했고 관광객 증가에 따른 안전성 확보와 장애인 탑승을 위해 케이블카 전면 교체 및 편의시설 확충을 위해 220억원의 시설 투자를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환경파괴에 대해서는 주탑기초 2곳 126㎡, 앵커리지 기초 8곳 223㎡로 미미하고 주탑설치 면적(349㎡)을 최소화해 환경파괴는 미미하고 환경영향성 검토를 완료해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안전성에 대해서는 구름다리는 내진 2등급 풍속 30m/s 기준보다 강화한 내진 1등급 교량과 42.2m/s로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대한불교조계종의 구름다리 설치 철회 요청에 대해서는 구름다리가 설치되는 위치는 염불암과 0.8㎞, 금당선원 및 대웅전과는 1.2㎞ 이상 떨어져 있어 스님들의 수행환경에 영향은 미미하지만 이를 적극적으로 보완해 정상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