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누가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가!

등록일 2020-08-24 19:58 게재일 2020-08-25 18면
스크랩버튼
강희룡 서예가
강희룡서예가

명나라의 환관이었던 유약우(1584-?)는 그의 저서 작중지(酌中志)에 ‘나는 석가의 가르침을 극도로 증오한다. 불교는 세상을 미혹하고 백성을 속이는 것(惑世誣民)으로 여겨 가장 먼저 배척하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적고 있다.

유약우가 이 말을 남긴 두 가지 이유는, 첫째는 명 황실과 고위관료들의 주자학 숭상이다. 주자학은 주희의 유교 경전 해석을 바탕으로 발전된 것으로 삶의 개별적, 실존적 현상보다는 그 이면의 보편적 이치를 성찰하고 깨닫는 데 주안점을 두었기에 태생부터 귀족적인 학문이었다. 현학적 태도로 만물의 이치를 통달한 자들만이 세상을 경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기에 이 정도 학문에 심취할 수 있었던 이들은 대부분 관료나 토호가문 출신의 유학자들뿐이었다. 주자학측면에서 불교를 위험하고 천박한 사상으로 분류한 까닭은 불교가 근본적으로 인간평등사상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신분과 출신에 관계없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불교의 주장은 고정된 신분질서를 옹호하던 이들에게 경멸과 증오를 불러 일으켰던 것이다.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東學)은 신분제의 타파를 외치고 있었기에 혼란한 조선말 상황에 가난한 농민들이 의지할 수 있는 종교였다. 반봉건적, 반외세적으로 농민이 주축이 되어 지배계층에 대한 조선의 최대 항쟁이었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어 최제우는 혹세무민의 죄로 처형되었다. 이를 계기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으며 후에 3·1운동으로 계승되었다.

2017년 8월에 방영된 TV 드라마‘구해줘’에 묘사된 무지군의 권력구조는 한국사회 전체 권력구조의 축소판으로 불의한 권력이 사람들을 이단의 유혹으로 몰아가기도 하지만, 이단들이 적극적으로 이 권력을 이용하기도 한다. 드라마에 묘사된 권력과 이단의 협력은 절대로 허구가 아니다. 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 방송을 통해 유명해진 JMS(기독교복음선교회)를 예로 보면, 교주 정명석이 1978년 창설한 신흥종교로 대부분의 한국 개신교 교파에서 이단 판정을 받았다. 정명석은 강간, 성추행 등의 혐의로 재판에서 10년형을 선고받고 2018년 2월까지 복역한 뒤 출소했다. 교단마다 교세경쟁이 심하다 보니 이단 문제가 불거져도 쉬쉬하기에 급급하고, 설사 해당 교단에서 이단으로 정죄 받아도 다른 교단으로 옮기거나 새 교단을 차리면 그만이다. 신천지는 2018년에 공개리에 정통과 이단을 가리자고 한기총에 제안도 했으며, 같은 해에는 신천지가 정통이고 한기총이 이단이라고 주장하는 책을 펴냈다. 올 초 코로나19의 확산중심에 신천지가 지목되자 8개 개신교단은 신천지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이만희 총회장의 구속수사를 촉구하는 성명을 채택했다. 수그러들던 전염병이 하반기에 다시 고개를 들자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대표후보는 지난 광복절 집회 중심에 전광훈 목사와 사랑제일교회 신도를 위시한 한기총이 있으며, 이들이 사실상 테러 집단으로 정부를 흔들고 정권붕괴까지 노리는 정치세력이며, 사이비 종교집단이라고 열을 올렸다. 한기총의 집회행위에 대해 사이비인지는 더 두고 보면 알 것이지만, 유튜브나 다른 매스컴을 통한 가짜뉴스와 여론조작은 현대판 혹세무민의 한 행태인 것은 확실하다.

水庵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