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오웰(George Orwell)은 1949년 그의 작품 ‘1984’에서 “거짓이 판치는 시대에는 진실을 말하는 것이 곧 혁명”이라고 했다. 70여 년 전 전체주의와 독재를 비판한 그의 명언은 거짓과 위선이 난무하는 ‘탈진실(posttruth)시대’에 우리의 가슴을 울린다. 거짓에 맞서는 ‘진실이라는 혁명’은 지금도 절실하기 때문이다.
탈진실이란 “여론을 형성할 때 객관적 사실(fact)보다 개인적 신념(belief)과 감정(emotion)에 호소하는 것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현상”을 말한다. 왜 이런 현상이 생겼는가? 인간은 행위결정에 있어서 감정의 영향이 매우 크며, ‘불편한 진실’보다는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믿는 성향이 있다. 게다가 SNS의 급속한 확산으로 ‘사실’과 ‘의견’의 경계가 흐려져서 미디어 사용자는 자신의 믿음에 부합되는 정보만 취사선택함으로써 ‘확증편향’의 외눈박이가 된다. 나아가 유사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 소통하면서 자신의 신념을 강화하는 ‘반향실(echo chamber)효과’로 인하여 편견과 독선은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유권자들의 탈진실 성향은 선거정치에 악용되고 있다. 정당과 후보자는 권력투쟁에서 승리할 수만 있다면 유권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거짓을 서슴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객관적 사실’에 맞서 ‘대안적 사실(alternative fact)’까지 만들어서 진영정치의 선전·선동을 통하여 유권자들을 현혹한다. 거짓과 진실을 구별하지 않고 ‘내편은 무조건 믿어주는 진영’이 있고, 선거와 후보자를 보는 유권자의 눈이 ‘이성보다 감정’에 치우치는 한 이미지 조작을 통한 탈진실 정치는 사라지기 어렵다.
그렇다면 진실에 기반을 둔 정도정치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치지도자의 각성이다. 대통령은 정치행위의 결과에 대한 무한책임이 있음을 명심하고 권력유지를 위해 인기에 영합하는 ‘감성정치’를 거부해야 한다. 대통령의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았기 때문에 ‘자신을 위한 권력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권력’이다. 따라서 정치에 입문할 때의 초심으로 돌아가서 국민을 위해 ‘소명으로서의 정치’를 펼쳐야 한다. 정도정치는 제왕적 권력을 가진 대통령의 의지에 달려 있기 때문에 야당에게 그 책임을 전가해서는 안 된다.
주권자인 국민의 책임은 더욱 무겁다. 마약 같은 권력에 취한 정치꾼(politician)에게 정도정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민주시민은 늘 깨어 있어야 하며, 탈진실 정치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팩트 체킹(fact checking)’ 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가져야 한다. 이른바 ‘문빠’ 또는 ‘대깨문’처럼 진보라는 허위의식에 사로잡혀 진영정치의 시녀가 되어서는 안 된다.
국민은 권력의 시녀가 아니라 머슴들(대통령·국회의원)에게 권력을 위임한 주인이다. 주인의 감시·감독이 느슨해지면 ‘머슴이 주인 행세’를 하는 것이 권력의 속성이다. 깨어 있는 시민들의 지속적인 정치적 관심과 오만한 권력에 대한 채찍만이 정도정치를 회생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