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업은 2019년 결혼이민여성 요구도 조사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우 한국에서 학교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어 자녀 교육 특히 기초학습 지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돼 다문화 가족자녀의 학교 적응력 및 학업성취 향상과 진로 찾기에 도움을 주고, 부모교육을 통한 효율적인 부모역할 습득 및 자녀교육에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 사업은 당초 캠프 형식으로 방학기간에 집중 지도와 수시 예비교사를 투입,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 했으나, 코로나19로 현재 교사들이 온라인교육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구글사이트를 이용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된다.
학습내용은 국어, 수학, 사회 과목을 각 10시간씩 총 30시간, 진로 및 진학지도 10시간, 심리·정서 상담, 셀프 리더쉽, 부모교육 10시간 편성했으며, 지도 교사 세분이 담임제로 지도하고 수시 모니터링을 통해 철저히 관리한다.
특히 학습의 난이도와 학습량이 늘어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지역으로 우선 영양, 영덕, 청송, 봉화의 4개 군에 거주하는 다문화자녀와 부모 10명씩을 선정, 원격지도로 수업을 진행한다.
장흔성 경북도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은 “일반가정보다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이 기초학습과 부모교육을 통해 성장하길 바란다”며 “앞으로 학업관리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을 확대해 경북도 전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