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황교안 전대 출마 자격’ 논란 계속

박형남기자
등록일 2019-01-27 20:11 게재일 2019-01-28 3면
스크랩버튼
책임당원 지위 획득 여부 등<br/>한선교 의장, 선관위에 의뢰

자유한국당 황교안 전 국무총리의 전당대회 출마 자격 여부가 2·27 전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입당 후 월 당비 1천원 이상을 3개월 이상 납부한 실적이 있을 경우 진성당원에 해당하는 ‘책임당원’의 직위를 부여한다. 당 대표 선거에 입후보하려면 책임당원이어야 가능하다. 적어도 후보등록일인 다음달 12일까지는 책임당원 지위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당헌상으로도 전대 선거관리위원회가 비상대책위원회에 요청하고 비대위가 심의·의결하면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예외규정이 있는 만큼, 이를 적용할지 여부가 상황을 정리할 수 있는 첫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친박(친박근혜)계 등 황 전 총리를 지지하는 측은 비대위가 황 전 총리의 출마를 막으려고 문제를 제기한 게 아니냐고 반발했다. 김태흠 의원은 “비대위가 영입한 인사에 대해 피선거권 논란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코미디”라며 “사적 유불리를 따져 편 가르기 차원에서 판단한다면 당원들의 저항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의원도 “김병준 위원장이 특정 후보에게 특정 계파의 카테고리를 뒤집어씌우고 있다”며 “김 위원장은 순리대로 전대를 관리한 뒤 조용히 떠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완수 의원 역시 “국회의원 공천 신청자는 책임당원이어야 맞지만 당 대표 출마의 경우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황 전 총리의 전대 출마는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잖다.

심재철 의원은 “당헌·당규는 모두가 동일하게 적용받도록 만들어진 규정인데 사람마다 차별적으로 적용한다면 그야말로 내로남불”이라고 밝혔다. 심 의원은 “비대위가 당헌·당규에 고무줄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며 “만일 고무줄 잣대를 적용한다면 그로 인한 반발 등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주호영(대구 수성을) 의원 역시 “보수정당은 법치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당헌·당규는 당의 헌법·법률과 같다”며 “당헌·당규를 준수해야 시비가 없어진다. 편법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증폭되자 전대 의장을 맡은 한선교 의원은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 자격에 대한 유권해석을 의뢰하기로 했다”며 진화에 나섰다. 한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대에 참여하는 모든 후보는 결론이 날 때까지 자격 논란을 중지하고 국민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