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합동 조사단은 영덕의 피해정도를 도로, 교량, 항만, 하천 등 모두 141억 원으로 집계했다. 이는 특별재난지역 기준 60억 원을 훨씬 뛰어넘는 액수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은 피해 복구비 중 지방비 부담분 일부를 국고에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자치단체의 재정적 부담이 크게 경감될 수 있으며, 신속한 재원마련을 통해 복구와 주민 생활 안정에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정부의 이번 조사단의 조사결과, 태풍 콩레이로 인한 피해는 전국적으로 549억 원으로 집계됐다. 그 중 영덕의 피해가 가장 컸다. 경북도내에서는 경주시 외동읍과 양북면이 특별재난지역에 포함됐다. 영덕은 314가구 55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주택과 건물 1천409채가 침수돼 1천288가구 주민 2천157명이 고지대로 대피하기도 했다. 또 침수 및 낙과 등의 피해를 본 농경지도 1천574ha에 달했으며, 어선 15척이 떠내려가는 피해도 입었다. 영덕군 전체가 태풍으로 골고루 피해를 입었을 뿐 아니라 피해 정도도 가장 컸다.
그러나 이 같은 태풍 피해에도 전국적 관심이 떨어진 것에 대한 주민들의 서운함은 여전히 마음 한쪽에 남아 있다. 특히 정부의 낮은 관심에 대해서는 노골적으로 서운함을 드러내 왔었다.
각종 재난사고 발생 시 즉시 달려와 얼굴을 내밀었던 정치인이나 고위 관료들의 모습이 거의 없었다는 사실만으로 그들의 섭섭함은 컸다. 오히려 경기도 고양에서 발생한 저유소 폭발 사고보다 주목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만약 수도권에서 이런 피해가 발생했다면 정부가 과연 이 정도 했을까 하는 불편함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곤 한 것이다. 이번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시기적으로 늦은 감은 있으나 이런 주민들의 불편한 심리를 달래주는 등 여러 측면에서 피해 주민들에게는 위안이 되는 계기가 된다. 일부 주민들은 생계의 기반을 잃어버려 막막한 사정에 놓여 있다.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이 뒤따른다 하더라도 피해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기에는 사실상 어렵다. 그러나 정부나 주변의 관심은 그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강구는 한창 북적여야 할 장날에도 손님의 발길이 뚝 떨어졌다고 한다. 지금 태풍 후유증으로 영덕의 많은 주민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계기로 이젠 그들이 새 삶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주변의 많은 사람이 격려해야 한다.
영덕의 태풍피해가 인재이든 그렇지 않든 정부와 자치단체가 합심해 그들의 상처를 달래는 따뜻함이 있어야 한다.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영덕군민에게 희망을 줄 새로운 전기가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