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열린 경북도의회 제288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이진락, 황이주, 오세혁 의원 등이 릴레이 도정질의를 펼쳤다.
이진락(경주) 의원은 경주지역 지진피해 복구와 지진대책 마련에 관해 질의하고 주민들의 생활에 와 닿는 도 차원의 실직적인 지원을 주문했다.
이진락 의원
“경주 지진피해 주민에
실질적 지원 마련해야”
황이주 의원
“주민에 친근하고 친환경적
지진 대피장소 건립” 요청
오세혁 의원
“시군의원 정수 재조정
경산지역 도로확장” 질의
이 의원은 “경주는 역사문화미관지구로 지정돼 건축비가 비싼 한옥골기와를 법으로 강제하고 고층건물도 못짓게 되어 있음에도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지진 위로금으로 100만원 밖에 지원되지 않아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진 피해지역에 대한 실질적 지원과 도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황이주(울진) 의원은 친환경대피소 건립, 지진대비 생존 공간 만들기 사업,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 관련 전문인력 채용을 제안하고 매화 광산 함몰 사건, 닥터헬기 운영 부실, 의료원 운영 부실 등과 관련해 대안마련을 촉구했다.
황 의원은 “경북도내 지진 대피장소는 모두 745개소, 수용인원은 142만1천367명으로, 대피장소의 대부분은 학교운동장과 공원이 지정돼 있는 만큼, 평상시에는 주민들이 여가선용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유사시에는 주민들이 안심하고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인 친환경대피소로 건립할 것”을 요청했다. 또 닥터헬기는 1년에 수십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나, 소형헬기로 인해 출동이 제한되는 등 문제점이 많아, 전시행정의 표본이라고 비판했다.
오세혁(경산) 의원은 시군의원 정수의 재조정, 경산지역 도로확장, 체육수업 강화와 관련해 질의했다.
오 의원은 경상북도의 전체 시군의원 정수는 284명으로 규정되어 있고 시군의원 정수는 2006년 제4회 선거 이후 2014년 제6회 선거까지 3번의 지방선거를 실시하는 동안 인구증감 및 행정구역 변화 등의 현실을 감안하지 않고 현재까지 계속 적용해 운영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