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재선충병 피해 현장 <BR>관리부실 또다시 드러나<BR>“되레 감염확산 초래” 우려
속보= 안동시가 재선충병 방제 설계에 따라 발주된 고사목만 처리한 사례로 말썽<본지 22일자 5면 보도>이 된 가운데 방제 현장마다 부실한 훈증처리에다 최우선 방제해야할 표시목도 제때 처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본지 기자가 산림전문가와 동행해 안동시 관내 재선충 실태를 점검한 결과 제때 방제되지 못한 재선충병 고사목들이 곳곳에 방치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동시 성곡동 한 야산의 경우 아예 말라 부러진 채로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는 고사목들이 쉽게 목격됐고, 최근 고사목 전수조사 당시 확인된 표시목도 방제되지 않은 채 그대로 방치돼 있었다.
또한 기체상의 농약 유효성분을 확산시켜 재선충병 살충·살균할 목적의 훈증처리도 엉터리였다. 올해 10~12월 안동시가 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처리한 `소나무무덤`가운데 훈증포를 덮지 않아 소나무가 그대로 노출돼 있을 정도로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심지어 문제의 소나무무덤과 불과 5m 떨어진 곳에 근무자가 상주하는 안동시 산림부서 소속 산불감시초소가 있었지만 그대로 방치되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산림전문가는 “훈증약 살포 후 훈증포를 덮지 않으면 약 성분이 기체화 되지 못해 나무속에 침투한 재선충병의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 유충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방제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고 봄철에 유충이 빠져나와 오히려 재선충병 확산을 초래하게 된다”며 “훈증포가 없거나 표시목을 그대로 방치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관리감독이 미비했거나 대충 처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위에서 발견된 훈증용 약병이나 훈증포를 토대로 훈증시기를 살펴본 결과 안동시가 수년전부터 최근까지 재선충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는 것이 입증된 셈이다.
이에 대해 안동시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재선충 방제 규정상 훈증포를 씌우지 않을 수 없지만 전반적인 현장점검을 실시해 확인해 보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총체적 관리부실을 드러낸 안동시의 재선충병 방제 실태는 산림청이 최근 발표한 통계자료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소나무 재선충병 재발생률이 전국평균 29.5%보다 훨씬 웃도는 100% 이상의 기록을 세운 것이다.
안동/권기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