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목 누락에 방제예산도 대폭 줄어<BR>소나무이동단속 초소 운영마저 중단<bR>불법 대량반출 늘어 재선충 확산 부채질
속보=안동시가 지난해 경북도를 거쳐 산림청에 보고한 재선충 고사목 허위 보고서<본지 9일자 1면 등 보도>로 인해 올해 투입될 재선충 방제 예산을 제때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사목 누락 등 안동시가 제출한 허위 보고서에 따라 정부 예산이 편성되다 보니 방제 예산은 턱없이 부족해 이에 따른 결과로 안동시는 불법 소나무 밀반출 단속에 기초가 되는 소나무이동단속 초소 운영마저 중단됐다.
안동시는 매년 임하면 천전리와 일직면 원호리, 정하동 일원에 고정식 소나무류이동단속초소와 기동초소를 마련하고 매년 10여명을 선발해 운영해왔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1억원의 예산을 마련하지 못해 결국 고정식 초소를 운영하지 못하게 됐다. 재선충 고사목 허위 보고로 고사목 숫자에 맞게 정부 예산이 배정됐기 때문이다.
해당 초소는 지난해 약 620여건의 차량을 검문해 불법 소나무류반출 시도를 점검하고 사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불법으로 소나무류를 반출하려는 시도를 위축시키고 경각심을 일깨워줄 유일한 장치였던 셈이다.
결국 안동시가 올해 기본적인 조치도 취하지 못하자 불법 소나무류 대량 반출 사례가 급증, 오히려 재선충 확산을 부채질하고 있다.
안동시 임하면 한 주민은 “올해 소나무이동단속 초소가 사라지자 한 밤중에 소나무를 가득 실은 화물차들을 수시로 목격했다”고 말했다.
수시로 바뀌는 산림청의 재선충 방제 지침도 일선 방제 현장에 혼란을 가져오면서 재선충 확산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안동시에 따르면 2009년에서 2010년까지만 해도 고사목을 베고 남은 뿌리 부분에 껍질을 벗기고 방제약을 부은 후 훈증포를 덮었던 방식(그루터기 훈증)이 재료비 낭비라는 주장이 나오자 산림청은 곧바로 방제 지침을 바꿨다.
하지만 최근 재선충이 급속히 확산되자 산림청은 다시 일선 지자체에 또다른 방제 지침을 하달했다. 재선충이 발생한 최고 전방(선단지)과 집중발생 지역에 그루터기 훈증을 재차 시행하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의 방제 관련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데다 이 정보들이 여과 없이 일선 방제현장에 흘러들어 혼란을 야기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재선충 방제 전문가는 “전문성이 없는 소나무류이동단속초소가 불법 소나무류 반출을 단속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최소한은 유지해야 한다”면서 “산림당국이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한 개 창구로 일관된 방제 정책을 펼쳐야 일선 현장에서 완전 방제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안동/권광순·권기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