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목 반경 10m `둘러 베기` 매뉴얼 무시<BR>산림 10만㏊ 3명이 관리… 행정조치 `전무`<BR>市 청정지역 남으려 고사목 허위 보고까지
속보= 백두대간까지 위협할 정도로 안동에서 소나무 재선충이 급속히 창궐<본지 4일자 4면 보도>하게 된 주요 원인은 지자체의 허위 보고에 이어 허술한 방제 작업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남부지방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안동지역 재선충 피해면적이 역대 최대로 밝혀졌다. 2013년 29h, 지난해 117h에서 올해 560h로 1년새 무려 5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 재선충 피해 나무도 5만여 그루로 지난해 1만2천여 그루, 2013년 3천여 그루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재선충 분류 최상의 `극심`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산림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허술한 방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본지 취재 결과 안동시가 진행한 재선충 방제 작업의 경우 기초적인 매뉴얼조차 무시됐다. 방제 작업을 마친 지역 주민들이 재선충에 감염돼 죽은 소나무를 땔감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선충 발생 지역 내 소나무 이동을 금지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도 있지만 안동시는 `어르신들이라서`, `산주의 반발이나 민원 때문에`라는 이유로 실제 손을 놓고 있다.
재선충 방제 핵심은 죽은 소나무를 처리하는 훈증작업이다. 그러나 주요 도로 인접지역마다 이른바 `소나무 무덤`들이 즐비하다. 이동이 어려운 깊은 산속 등에서 제한적으로 `소나무 무덤`을 두도록 한 규정을 무시하고 도로에서 50m 이내의 재선충 소나무에 대해서도, 파쇄해야 한다고 명시된 산림청 방제 매뉴얼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이다.
또 시는 예산과 인력이 없다는 이유로 선제적 방제를 무시한 채 죽은 소나무 처리에만 급급했다. 고사목이 발생할 경우 반경 10m 내 감염이 우려되는 소나무를 모두 베어내는 이른바 `둘러 베기` 작업을 생략한 것.
산림면적 10만ha를 관리해야 할 담당 공무원도 고작 3명이다 보니 재선충 방제 명령이나 강제 집행 등 산주를 상대로 진행한 행정 절차가 단 1건도 없어 탁상행정에 치중했다는 반증이 되고 있다.
특히 재선충 창궐을 키운 가장 큰 문제점은 허위 보고서였다. 지난해 안동시가 경북도를 거쳐 산림청에 보고한 재선충 고사목 통계 자료에는 고사목이 1만2천여 그루였으나 실제 10cm 미만 고사목 7천여 그루를 누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사목 숫자를 줄여야 관련 예산도 줄이고 그만큼 안동지역이 타지역과 달리 재선충 청정지역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안동시 관계자는 “재선충이 심각한 포항·경주와 달리 육안으로 본 결과 안동지역이 해당 지역과 분명히 차이가 있어서 누락했다”면서 “올해 고사목이 5만 그루 이상이 된 원인도 지난해 누락된 부분을 합쳐서 늘어난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안동시의 위험천만한 발상과 뒷짐 행정으로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된 재선충 사태에 백두대간까지 위협받게 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산림 관계자는 “재선충이 아무리 빠르게 확산된다 하더라도 방제 당국이 손을 놓지 않은 이상 이런 속도로 확산되진 않는다” 면서 “안동의 경우 산림청 공언과 달리 실제 방제 현장을 맡은 지자체의 총체적 부실까지 보태져 결국 사람이 재선충을 퍼뜨린 노릇을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2015년 안동 고사목 조사 결과 *총 피해 본수:49,182 | |||||||||
지역별 | 북후면 | 와룡면 | 市중심권역 | 서후면 | 임하면 | 풍산읍 | 녹전·도산·예안면 | 임동면 | 남선면 |
본수 | 13,806 | 12,971 | 11,490 | 8,628 | 987 | 577 | 487 | 166 | 70 |
안동/권광순·권기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