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성장동력 찾기 앞서 철강사양화 대비 먼저

이창형기자
등록일 2015-10-12 02:01 게재일 2015-10-12 1면
스크랩버튼
철강산업 쇠퇴 가속, 위기의 포항 생존전략은<bR>19일 본사 주최 `창조포항 심포지엄` 발제 서정헌 박사 지적

철강산업의 급격한 침체기에 철강도시 포항이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당장의 신성장동력 모색보다는 철강산업 사양화에 대비하는 노력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즉, 철강산업 사양화가 지역경제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지역경제의 연착륙 방안을 찾는 방안이 급선무라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은 경북매일신문과 철강산업 전문 매체인 스틸앤스틸 공동 주관으로 오는 19일 오후 2시부터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철강산업 위기와 포항지역경제`란 주제로 개최되는 `창조포항 미래발전 심포지엄`에 앞서 발제자로 참여하는 서정헌 박사(스틸앤스틸 대표)에 의해 제기됐다.

발제문 전문▶3면

국내 철강산업 전문가인 서 박사는 `철강도시 포항의 생존전략`이란 주제에서 “포항에는 여전히 철강을 대체할만한 신성장산업에 대한 담론이 많지만 이를 실현할만한 시장의 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면서“지금 포항 지역경제를 위해서는 신성장동력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더 중요한 것은 포항 지역경제가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철강산업 사양화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서 박사는 그러면서 “철강산업 위기에 소득·고용 등 간접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지역경제는 철강산업보다 더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고 진단하고, “철강산업 사양화가 지역경제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지역경제가 연착륙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같은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철강산업의 사양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 더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철강산업 연착륙을 위한 수입방어 노력 △철강사 공동의 감산노력 △철강사의 설비퇴출이나 구조조정 노력 △포스코 현대제철의 복점적 경쟁구도를 유지하는 노력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이같은 노력을 위해서는 철강사와 지역사회는 물론, 정부의 지원대책 등도 병행돼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서 박사는 주장했다.

즉 정부의 역할이 부도 난 철강사를 회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설비매각,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을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같은 노력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철강도시 포항의 미래는 상상하기조차 싫은 `아비규환`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서 박사는 “철강산업 사양기에 포항 지역경제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신성장동력을 찾는 노력도 의미가 있지만 당장 더 시급한 것은 철강산업의 연착륙”이라며 “이를 위한 지역주민, 철강사, 철강노조, 환경단체 등 지역과 관련된 모든 주체들의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