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상황에서 지역경제활성화와 일자리창출을 위해 기업투자유치, 강소기업육성, 해외시장 개척 등을 위해 포항시장님을 비롯한 정치인, 상공인, 유관 단체장들이 힘을 합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포항의 미래와 포스코 이후를 생각하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는 새`를 잡으려는 노력도 해야하지만 `손에 든 새`도 소중히 여기고 알을 낳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방안을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흔히 제철산업을 사양사업이라고 쉽게 말하지만, 엄격히 이야기하자면 제철산업 자체가 사양산업이 아니고 특정지역이나 특정국가에서 경쟁력을 상실하는 현상이다.
우리가 아는 유럽 철강산업의 중심지 독일 자르브뤼켄 볼크링겐 제철소, 미국의 철강산업 발상지 피츠버그 등 선진 철강업체들의 흥망은 바로 포스코같은 후발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상실한 까닭이다. 그 결과 도시의 쇠락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교훈으로 포스코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익성 개선과 대외 경쟁력 향상, 첨단설비 투자를 통한 생산원가 감축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수익성 향상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자동차 강판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대량생산, 후판 고급제품 양산체제 구축, 전기강판 고급재 확대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설비보완과 첨단설비가 당연히 도입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위해서 반드시 발전설비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대 전제가 있다.
포스코가 2014년 한전에 지불한 전기비용은 약 6천200억원, 금년은 약 7천억 수준이며, 장래 전기요금 상승폭을 감안하면 2022년에는 약 1조2천억원으로 포스코는 전기비용만으로도 적자로 돌아설 전망이다. 글로벌 경쟁사인 일본 신일철주금, 중국 바오산 스틸 등은 전력 사용량의 90% 이상을 석탄과 부생가스를 이용한 자가 발전설비를 가동하고 있으나 포스코는 현재 전력 사용량의 46%만 자가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급성을 인식한 포스코는 지난해 8월부터 전력문제 해소와 경쟁력확보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청정화력 발전설비 교체투자`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포항지역은 고체연료(석탄)를 사용한 발전이 제한되어 있어 인·허가 관련부처에서 많은 어려움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일자리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공장 증설, 설비투자, 인허가 등에 과감한 규제개혁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기조하에 관계부처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포스코의 `청정화력 발전설비 교체투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조로 공감대 형성과 적극적인 지지 여론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혹시 환경문제를 고려하는 것이라면 수도권 청정지역에서 이미 가동중인 국내 최신의 영흥화력발전소를 보면 초미세먼지나 중금속물질 등은 첨단기술의 도입으로 거의 완벽하게 관리되고 있는 사례를 보면 된다.
약 1조원의 신규 투자, 3여년의 공사기간과 환경영향 평가 등 5년 소용 예정, 이 기간 동안 연인원 약 110만명 고용창출 효과, 발전기간 20년 동안 총 1천800억원 지방세 납부 예상.
품안에 있는 새가 알을 부화시킬 수 있도록 좋은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은 `나는 새`도 우리 손안으로 오게하는 일이며, 이러한 역할은 그 누구의 일도 아니고 바로 우리 아이들의 미래 일자리를 위한 지역사회의 몫이다.
포스코는 여전히 건재하게 우리 곁에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