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는 “제품에 하자는 없다. 납품 기일에 맞추려다 보니 검사를 건너뛰게 됐다”고 변명한다. 그런데 그 제품에도 `합격도장`이 찍혀 있다. 인증검사에는 개당 3만540원의 비용이 든다. 업체가 이 비용을 아끼려면 `은밀한 거래`가 형성돼야 하지 않겠는가. “제품에는 하자가 없다”란 업체측의 말을 믿고 싶지만, 소방관들이 믿겠는가.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평균 7명의 소방관이 순직한다. 일본의 2.6배다. 부실장비와 장비 부족도 한 원인일 것이다. 독가스를 마시고 입원중인 소방관도 많다. 그리고 소방직은 경찰직과 달리 지방직이어서 지자체의 재정상태에 따라 대우가 천차만별이다.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서 근무하는 소방관들의 대우는 그만큼 열악한데, 생명줄이나 다름 없는 방화복까지 믿을 수 없게 되었으니, 희생정신과 사명감으로 버티라고 요구할 수도 없다.
경주시는 유난히 현수막이 많이 걸리는 도시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는 불법현수막이 적지 않다. 그런데 국회의원, 시의원, 시민단체 등 강자의 불법현수막에 대해서는 단속이 미온적이고, 힘 없는 일반 시민의 생계형 현수막에 대해서는 단속이 엄청 신속하다. 강자의 불법현수막은 열흘 이상 걸려 있는데, 약자의 현수막은 `달고 돌아서면 철거`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일손이 모자라 단속이 늦어지기 때문”이란 말 같지 않은 구실을 둘러댄다. `일손 부족, 예산 부족`은 관리들이 항상 가져다 쓰는 `고전적 핑계`다.
포항시의 행정도 불신의 늪에 빠져 있는 형국이다. KTX 개통일을 두고 여러번 오락가락했었다. 중앙정부와 포항시의 발표내용이 서로 달라 혼선을 불러오더니, 이번에는 포항~서울 간 소요시간을 두고도 포항시의 발표가 불신을 자초했다. `2시간 10분대`인 차편은 20편 중 단 2편 뿐이고, 그 외에는 2시간 24분에서 2시간 45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한 발표를 거듭하면 양치기 소년의 “늑대요 늑대. 정말 늑대요”꼴이 난다.
또 정부가 삼척과 영덕에 각 2기씩 건설하려던 원전 4기를 영덕 쪽에 모두 건설하려는 것으로 알려져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신규원전 입지나 물량 등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이 논의된 바 없다”고 부인했다는데, 원전정책은 꼼수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