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재선충 박멸 공조체제

등록일 2015-02-17 02:01 게재일 2015-02-17 19면
스크랩버튼
새누리당 이병석 의원은 최근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현재 논의중인 `소나무재선충 방제특별법`의 개정을 신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매년 막대한 예산을 들여 재선충 방재를 하고 있지만, 피해상황은 오히려 확산되는 실정이므로 현 상황을 국가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재선충 방제 중앙통제센터를 설립하고, 책임방제제 도입 및 부실업체에 대한 벌칙조항을 신설할 것을 제안했다. 현 상황을 `국가적 재난`으로 규정하자는 견해에 공감한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를 언제까지나 계속할 수 없는 일이다.

산림청은 최근 “올해 재선충 재발생률을 30% 이하로 낮추고 2017년까지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완전방제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방제품질 향상``방제 특별법 제정``방제 방법 다양화`등 3대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방제품질 향상을 위해 담당관제를 확대 실시하고, 법을 개정해 재선충 발생의 신속한 예찰과 국가 단위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숲과 반복적 피해발생지역 등에 대한 국가적 관리 감독 기능도 강화키로 했다. 또 재선충 방제 방법의 다양화와 실용화 제고를 위해 중요 문화재 구역,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숲 등 지역적 여건 및 상황을 반영한 차별화된 방제전략을 수립키로 했다.

소나무 재선충 피해가 가장 큰 곳으로 알려진 포항에 피해목을 활용한 목재 가공센터가 유치됐다. 최근 산림청에 따르면, `동남부 목재유통센터`를 포항시 기계면 산림조합 목재펠릿 제조공장에 설치, 고사목을 활용키로 했고, 국비 14억원, 시비 2억8천만원, 포항시산림조합 2억원 등 20억원이 투입된다. 산림조합중앙회는 그동안 경기도 여주시와 강원도 동해시에 목재유통센터를 운영해왔는데, 이번에 제주도와 경남 밀양시, 포항시를 추가시켰다.

산림조합은 해마다 평균 2만t의 임목을 활용해 건축재와 펠릿 생산을 높일 계획이고, 벌채목과 재선충병 피해목이 지역 내에서 가공돼 건축 및 목공 자재 등 고급재로 활용됨으로써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기대되고, 연인원 3천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예상된다. 또 목재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톱밥 등 부산물은 현재 수익성이 부진한 펠릿 제조시설을 정상화시키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재선충 박멸은 지자체 간 공조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솔수염하늘소는 광역적으로 재선충을 퍼트리기 때문에 인근 지자체 간 공조를 통해 함께 방제해야 한다. 포항시와 경주시는 `형산강프로젝트`를 통해 공조체제 구축의 토대를 마련해놓았으니, 재선충 방제에도 협조체제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경주는 전역이 문화재 보존지역이니 재선충 관리에 특별한 대책이 절실하고, 포항시와 손발을 맞추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경재의 일본을 읽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