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유아산업 법정관리 개시 결정의 그늘 하청업체 100여곳 줄도산 우려

고세리기자
등록일 2015-01-14 02:01 게재일 2015-01-14 1면
스크랩버튼
자금회전 꽉 막혀 발만 동동<BR>은행권 대출연장 등 지원을

속보=지난 8일 ㈜유아산업·건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개시 결정<본지 12일 자 1면 보도 등>으로 지역 하청업체들의 2차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지역 내에서 유아산업과 직간접적인 거래관계에 있는 업체는 100여개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업체들은 유아산업이 기업회생절차가 개시되는 바람에 현재 회계 업무가 사실상 마비된 상태다.

이들은 지난해 11월 유아산업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당시 임시협의체를 구성해 유아산업이 진행하던 공사를 원청회사와 직접 계약하고 잔여 공사를 이어나가는 방안을 선택해 일부 합의를 봤다.

하지만 당장 주력 하청업체 11곳은 현재까지 60억원 이상에 이르는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연쇄 부도 위기에 내몰리며 최악의 자금난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건설현장의 나머지 20여개 업체들과 관련 거래처 등도 최소 수천만원에서 수십억까지 경영에 치명타를 입을 상황에 부닥쳤다.

하청업체 대표 A씨는 “지난해 말 일부 원청회사와 유아산업의 공사를 대신 수주하는 것으로 합의해 겨우 두 달치 정도 밀렸던 직원 임금만 해결할 수 있었다”며 “나머지는 대책도 없고 하청업체 대표들이 전부 신용불량자로 전락해 은행계좌가 묶이는 등 줄도산 위기다”고 어려움을 털어놨다.

이처럼 지역 영세 업체들의 연이은 부도 사태가 예견되자 대책 마련에도 비상이 걸렸다.

수십여개의 업체들이 잇달아 쓰러지면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지역 금융권에서도 외면하지 말고 해당 업체들에 대한 대출만기 연장을 지원하거나 대출한도 축소, 추가 담보 요구 등의 행위를 자제해 줄 필요성이 있지 않느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또한 당장 밀려 있는 세금을 조금 늦게 납부할 수 있는 유예기간이 필요하다며 하청업체 관계자들이 호소하는 상태다. 지난해 사태가 발생했던 당시, 포항시 관계자가 방문해 각종 세제 유예, 소액 피해자 우선 변제 요청 등을 약속했었으나 지금은 그마저도 감감무소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 하청업체 관계자는 “며칠 내로 돌아오는 어음도 막아야 하고 부가세 등 세금도 밀린데다 과태료까지 나와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곤란하다”며 “갑작스런 부도로 위기에 내몰린 수많은 업체들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세리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