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 요구안 정부수용시 찬성` 합치면 찬반 비슷<bR>60대이상 `찬성` 의견 많고 40대 `반대` 경향 뚜렷
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반대는 51.8%로 찬성 35.8% 보다 16.0%가 더 많았다.
하지만 `반대` 응답자 638명만을 대상으로 한 `영덕군의회 원전특위가 정부에 제시할 요구안이 수용될 경우를 가정한 찬반 의견` 조사 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이 나타난다.
(앞선 질문에서) `영덕원전 찬성`(35.8%)의 440명과 (앞선 질문에서) `영덕원전 반대`이지만 `특위 요구안 수용 시 찬성`(21.4%)의 137명을 합하면 577명(약 47%)으로 찬반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이번 조사 결과 등 우세해가는 반대 여론에 대해 심각성을 절감, 적극 대응에 나서 영덕군민의 신뢰도 제고는 물론 지역발전 방안의 종류와 규모를 확대할 경우 찬반 여론이 다시 역전될 가능성이 엿보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정부와 영덕군이 찬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경우 나타날 여론이 어떤 추이를 보일지가 더 주목된다.
반면 영덕과 강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력 등이 취약한 영해면에서는 찬반이 비슷했다. 이는 원전으로 인한 기대 심리를 엿보게 해 준다. 연령별로 표본 수 가운데 가장 많은 60대 이상에서 찬성 여론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전체 표본 중 인구가 가장 적은 40대의 반대가 타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은 경향도 확인됐다. 영덕지역 20~30대 응답자들의 원전 반대 비율은 40대에 비해 오히려 낮았다.
응답자의 82%가 원전 유치지역 4개 마을 주민들 의견만으로는 부족하며 영덕군민 전체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영덕군이 유치 당시 조금은 미숙하게 접근한 결과라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하는 대목. 앞으로 상당한 논란이 예고된다. 특히 응답자의 69%가 주민투표를 통해 다시 의견을 물을 필요가 있다고 해 영덕군의회원전특위가 이 부분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가 최대 숙제가 되게 됐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폴 스미스리서치 이근성 대표이사는 “이번 같은 결과는 정부가 지난 2012년 영덕군이 원전 유치를 추진하고 나서 정책적인 호재를 얻게 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2011년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 사고의 피해 및 실상이 계속해 드러난 데다 2013년 원전 납품 비리 및 정전 사태, 2014년 강원도 삼척시의 주민투표 결과 우세한 반대 여론 등으로 정부의 신뢰와 함께 원전 안전성도 추락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은 정부에서 영덕원전에 대한 지원안을 내놓지 않은 마당이라 반대가 많은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정확한 여론은 정부의 지원안이 제시된 후 조사를 해봐야 알 것 같다며 지난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조사시기:2015년 1월 9일 ~ 10일
●조사대상:영덕군 성인 남녀 1천231명
●조사방법:자동응답 전화면접조사
●신뢰도:95% ± 2.8%
/임재현기자 · 이동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