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은행 간 통합으로 치부해선 안 돼<br> “9.3 총회 적법성 여부, 론스타 흔적 지우기 등 관련 사항에 대한 조사 필요”
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이 급물살을 타고 진행되는 듯 보여 우려 섞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9일 양 행이 통합이사회를 개최한 이후, 존속법인‧통합은행명에 대한 정보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이어 김한조 외환은행장이 유력한 통합은행장 후보로 거론되며 조기통합이 가시권에 들어선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일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통합에 대한 노·사간 공식적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조기통합에 대한 추측만 무성한 상황이다. 또한, 노‧사간의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이 남아있어 이에 대한 우려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일단 지금처럼 9.3 총회의 적법성 여부가 제대로 판단 내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양 행의 조기통합이 시행된다면, 징계를 받은 직원들의 입장은 곤란해지고 만다.
외환은행 경영진은, 9.3 조합원 총회를 불법으로 판단하고 이에 참가한 직원들에 대해 대규모 징계를 예고한 바 있다. 실제로 징계를 받은 수는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모든 징계가 완전히 철회된 것은 아니다. 즉, 9.3 총회의 적법성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피해를 입은 직원들이 발생한 상황이다. 때문에, 사측의 주장대로 총회가 불법 집회인지 노조 측의 주장대로 정당한 집회인지의 여부가 가려져야 이에 대한 직원들의 거취가 결정될 것이다. 하지만, 양 행의 조기통합이 성사된다면, 위 직원들에 대한 징계가 철회될 여지 역시 사라지고 만다. 이는 일부 직원들에게 부당한 피해를 끼칠 수도 있어 민감한 부분이다. 이에 대해 한 외환은행 직원은 “단 한 명의 억울한 사례라도 발생하지 않도록 양 측이 나서 대화를 마무리 지어야 한다. 이대로 조기통합이 어영부영 성사된다면, 피해를 입은 직원들은 적법성 여부를 가릴 기회마저 잃고 말 것이다.” 라고 이 같은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
또한, 양 행의 조기통합이 성사된다면 ‘론스타 흔적 지우기’라는 의혹 역시 피해갈 수 없는 부분이다.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은 론스타 사건의 책임자로서 많은 비난을 받아왔다. 2003년 외환은행 매각 당시, 론스타의 실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이를 승인했다는 이유에서다. 현재도 론스타에 관한 ISD소송이 거대 소송료를 발생시키며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양 행의 조기통합을 은행 간의 합병이 아닌, 좀 더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아야하는 이유다.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은 아직도 금융계의 뜨거운 감자다. 양 행의 조기통합이 거론된 시점부터, 현재의 진행 과정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많은 논란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제기한 9.3 총회에 대한 적법성 여부와 론스타 사건 등은 노동부와 금융위가 밀접하게 관련된 중요 사안이다. 때문에 노‧사간 갈등을 제외하더라도, 이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관들의 집중적인 수사와 관심이 하루라도 빨리 이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뉴미디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