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주최 `원자력 수용성 확보 컨퍼런스` 성황리 열려<BR> 원전·한수원·방폐장 보유 `해체센터 유치` 최적지`<BR>새 먹거리산업` 500조 규모 원전해체시장 선점을
경북매일신문 주최 `제2회 원자력사업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커퍼런스`가 25일 오후 2시 동국대 경주캠퍼스 백상관에서 최양식 경주시장, 권영길 경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새정치민주연합 홍의락 국회의원, 주낙영 경북도 행정부지사, 이계영 동국대 경주캠퍼스 총장, 홍욱헌 위덕대 총장과 경북·경주의 관련기관 임·직원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관련기사 2·3면> 현재 8개 광역시·도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이하 원전해체센터) 유치와 관련된 주제(`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 지역 발전 방향`)를 두고 경북도와 경주시,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후원으로 열린 이날 컨퍼런스에는 전문가집단은 물론 일반 시민들까지 참석해, 원전산업의 `탈로`로 정의되고 있는 원전 해체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최윤채 경북매일신문 사장은 “원전에다 한수원본사를 비롯해 방폐장 등 원전관련 `인(in)` 사업을 총망라해 유치한 경주에서 미래 먹거리산업인 원전해체사업(out)을 주도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경주시와 의회를 중심으로 민간유치추진위원회, 정치권, 경북도와 학계, 전문가집단 등이 연계·합심해 유치활동을 전개하면 지역 언론도 여론 조성을 위한 소임을 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환영사에서 “원전해체센터의 경주 유치에 공감하며 법안 마련에 발 벗고 나섰던 홍의락 의원에게 감사를 드린다”고 운을 뗀 뒤 “경주와 포항에 우수 연구인력을 둔 대학들이 여럿 있고, 원자력 분야에 독보적인 권위를 가진 대학 교수와 총장 등이 다수 포진하고 있는 등 원전해체센터 유치 조건을 완벽하게 갖춘 곳은 없다”면서 시민들이 힘을 모아 유치하자고 말했다.
권영길 의장은 “강한 자가 살아 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 남는 자가 강한 것”이라며 “2005년 11월 89%라는 찬성으로 방폐장을 유치한 시민들의 힘을 원전해체센터 유치에도 쏟아부어 받드시 승리하자”고 주문했다.
김관용 도지사를 대신해 참석한 주낙영 행정부지사는 “다른 곳에서 위험하다고 반대한 원전과 방폐장을 통크게 받아들인 경주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에너지기술산업 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반드시 원전해체센터를 유치해야 한다”면서 “정치적 논리를 배제한 가운데 엄정·공정한 심사로 후보지를 선정해야 한다. 만약에 경북이 안 되고 다른 지역이 후보가 된다면 원전해체센터를 해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홍의락 국회의원은 “이제 원전 해체 쪽에 초점을 맞춰야 우리가 먹고 살 수 있다”고 전제한 뒤 “2030년까지 세계 원전해체시장은 500조원 규모에 이른다. 고리·월성원전 1호기는 우리 손으로 뜯어보고 그 기술력을 확보, 세계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홍 의원은 “대구·경북은 부산보다 매사에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면서 “신공항을 두고도 대구·경북은 부산을 향해 싸우는 반면 부산은 중앙정부를 향해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처럼 원전해체센터의 경우도 경북 내에서 서로 다투지 말고 경주를 비롯해 영덕 울진 김천 등이 합심해 추진하면 승산이 있고, 당연히 경북으로 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장순흥 한동대 총장의 기조연설(주제:지속가능한 원자력과 폐로)을 시작으로 대경연구원 정근우 박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교수, 전 IAEA 원자력발전국장 전풍일 박사, 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엄순섭 경주시의회 원전특위 위원장, 한국전력기술 미래전력기술연구소 이병식 박사, 동국대 오영석 교수 등의 주제발표에 이어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다.
경주/황재성기자
jsgol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