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문가·시민·학생 등 행사 내내 자리지키며 큰 관심

전준혁·안찬규·김혜영기자
등록일 2014-09-26 02:01 게재일 2014-09-26 3면
스크랩버튼
기조연설·주제발표·토론 이모저모<BR>다양한 정보공개로 안전 원자력 발판 마련<br>원전부지 못지않게 주관부처 선정도 중요
▲ 경북매일신문 주최로 동국대 경주캠퍼스 백상관에서 열린 `제2회 원자력사업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컨퍼런스`에서 최윤채 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경주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관련 컨퍼런스에 쏠리는 시민들의 관심과 열기가 매우 뜨겁게 달아올랐다. 컨퍼런스 기조연설은 물론 주제 발표와 토론까지 3시간여에 걸친 마라톤 회의에도 참가자들은 진지한 표정으로 참여하는 모습이었다.

○…청와대 행정비서관에 내정돼 중앙행정업무를 맡게 된 주낙영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날 축사에서 원자력사업과 관련한 경주지역 특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의 필요성을 지역 현안에 맞춰 역설하는 등 고향 경주에 깊은 관심을 나타내 눈길.

○…권영길 경주시의장은 “방폐장을 경주에 유치한 지역의 힘을 바탕으로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도 유치할 것으로 기대한다”는 짧은 축사로 눈길.

○…경북도 2단계 원자력 전문인력양성사업 기관으로 선정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학생들도 이날 컨퍼런스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행사에 참석한 10여명의 학생들은 발제자들의 한마디 한마디에 귀 기울이며 필기하는데 여념이 없었다. 김한성(23·경주시) 2학년생은 “오늘 여러 전문가들의 강의를 들어보니 경주와 원자력은 떼어낼 수 없는 관계인 것 같다”며 “지역 일자리 창출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가 꼭 경주에 유치 됐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주제토론시간 발제를 맡은 대경연구원 7명의 원자력사업 유치 관련 전문가들의 열정적인 발제로 행사종료 시간이 30분이상 늦어지기도.

○…경주YMCA 부설 원자력 아카데미 수강생 김영숙씨는 원자력사업 컨퍼런스를 적극 반기는 눈치였다. 원전 유치 사업의 기술적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해 경주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충분히 경제성 있는 사업이라는 것. 하지만 그동안 사업 내용에 대한 정보공개가 이뤄지지 않아 아쉬웠다는 입장이다. 김씨는“전문가들이 안전성에 대해 철저히 검증한다면 원전의 수명에 상관 없이 사업 유치에 적극 찬성한다”며 “시설 유지에 대한 필요한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을 비롯한 환경설비 등 정보공개를 적극 요구했다. 엄청난 예산을 투입한 사업인데도 불구하고 설명이 없으니 시민들 사이에 의혹만 커져가고 있다는 것. 김씨는 “오늘같은 컨퍼런스 등 공개적인 자리를 통해 정보를 공개하는 기회가 자주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각 부의 행사 중간중간 쉬는 시간에서는 여기저기서 컨퍼런스 내용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도 보였다. 원자력에 대한 찬반 의견부터 해체기술센터의 역할에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오갔다. 경주시민 김성훈(47)씨는 “평소에 궁금했던 해체기술종합 연구센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잘 알게됐다”며 “앞으로도 이부분이 많이 공론화돼 안전한 원자력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종합토론에서 적극적으로 질문을 쏟아냈던 한 시민도 눈길을 끌었다. 경북원자력안전협의회 위원이자 경주탈핵시민연대 공동대표로 40여년간 시민운동을 했다는 조관제(72) 위원은 “시민들은 해체기술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고 있는것이 현실이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접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며 “앞으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함께 살피고, 고용창출이나 경제유발효과 등이 더욱 많이 논의돼야 한다”고 밝혔다.

○…컨퍼런스의 마지막 토론회에서는 원전 부지 선정 못지 않게 주관 부처 선정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요한 사업인만큼 첫 출발이 중요한데 시작부터 미래부와 산업부 사이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어 향후 원할한 사업 추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 사업을 담당할 주관 부처와 위원회를 선정한 다음 원전 사업 부지 선정 기준에 대해 파악하고 접근성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목소리를 담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것부터 방향을 설정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준혁·안찬규·김혜영기자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