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평범한건 NO… 차별화가 인기비결”

연합뉴스
등록일 2014-08-06 02:01 게재일 2014-08-06 14면
스크랩버튼
 자유분방 `끼` 발산 블락비, 사랑노래 담은 앨범 `헐`로 인기몰이
그룹 블락비(지코, 태일, 재효, 비범, 피오, 박경, 유권)는 요즘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 같다. 인기 상승세가 가속 페달을 밟고 질주하는 수준이다.

`베리 굿`이라고 환호하는 소녀, 누나, 이모들이 급증했고 음원차트에서도 `잭팟`을 터뜨렸다. 지난달 발표한 미니앨범 `헐`(HER)은 음원차트 1위를 차지했고 공개 10여 일이 지났지만, 수록곡 2곡이 각종 차트 10위권에 진입해있다.

인기의 반등에는 이유가 있는 법.

2011년 데뷔한 이들은 `유사품`이 판치는 아이돌 시장에서 음악이든, 캐릭터든 영리하게 차별화를 꾀했다. 기획사의 철저한 계산 아래 만들어진 느낌은 아니다.

멤버 지코가 프로듀싱을 맡아 손수 만드는 음악은 힙합 비트에 일렉트로닉, 록, 블루스, 펑키 등 다채로운 장르를 더하며 진화했다. 노랫말에선 식상한 애정 타령도하지 않았다. 여느 보이 그룹들이 `러브 테마`의 댄스 음악, 칼 군무를 앞세운 것과는 다른 지점이다.

캐릭터 또한 흥미로웠다. 통제되지 않을 것 같은 천방지축 악동들. 뮤직비디오에선 해적(`닐리리맘보`), 광대 탈을 쓴 악당(`잭팟`), 은행 강도(`베리 굿`) 등 과격한 무법자로 등장해 난장판을 벌였고, 무대에선 자유분방한 `끼`를 발산했다. 호기심을 갖고 지켜보던 블락비가 성공하자 가요계에는 힙합과 `상남자` 캐릭터를 내세운 보이 그룹들이 잇달아 등장했다. 기획사들이 이들처럼 거친 남성성을 부각해야 여심을 자극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남들과 같은 건 거부하는 이들.

이번 앨범 `헐`에선 되레 사랑을 주제로 내세워 반전을 꾀했다. `헐`은 `그녀`를 뜻하는 영어 `HER`와 `그녀를 보고 놀랐다`는 의미의 감탄사 `헐`이란 이중적인 의미를 담았다.

최근 여의도에서 만난 이들은 “외출했는데 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만나면 왠지 민망하다”며 “이번엔 옷을 갈아입는다는 느낌으로 작업했다”고 말했다.

이 곡을 작사·작곡한 지코는 “러프한 힙합 비트에 1, 2절 랩을 얹은 음악, 강한 콘셉트를 한 팀이 주류가 될 만큼 많이 나왔다”며 “우린 달라지고 싶었다. 다른 친구들은 많이 해본 감성적인 주제가 우리에게는 `유니크`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헐`은 록 블루스 기반에 중독성 강한 기타 선율이 담겨 달콤한 러브송과 궤를 달리한다.

“확 바뀌면 어색할까 봐 자연스럽게 바꾸는 편이 좋을 것 같았어요. 그래서 우리 색깔을 가미해 사랑을 주제로 했지만 `달달한` 노래는 아닙니다.”(지코)

콘셉트에 발맞춰 수록곡도 통일감을 줬다. 첫 트랙 `보기 드문 여자`와 메인 보컬 태일의 솔로곡인 `이제 날 안아요`는 대놓고 사랑 노래다.

튀는 트랙이라면 `잭팟`. 당초 이 곡은 지난 4월 발매할 앨범의 타이틀곡이었지만 뮤직비디오를 공개한 날 세월호 참사가 발생해 앨범 발매 자체를 취소했다.

비범은 “`잭팟`이 `다 같이 놀자`란 신나는 노래인데 큰 슬픔이 닥치니 활동할 마음이 없었다”며 “차라리 시간을 갖고 새 앨범을 탄탄히 작업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위치에 오기까지 난관도 있었다. 2012년 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태도논란이 불거졌고, 지난해 전 소속사와 분쟁도 있었다.

지코는 “우린 성숙하지 못해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 같았다”며 “운전을 가르쳐주는 사람도, 내비게이션도 없이 신나서 마음대로 주행했다”고 돌아봤다.

박경도 “스스로 연예인이라고 느끼지 못했고 우리 행동이 어떻게 비치는지도 몰랐다”며 “우리로 인해 팬, 스태프가 피해를 입는다는 것도 알게 됐다. 몸으로 부딪히면서 많은 걸 배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잡음을 일으키며 공백기도 보냈지만 이들이 버텨낸 건 음악적인 재능 덕이라는 게 업계의 공통된 견해다. /연합뉴스

방송ㆍ연예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