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안내하는 것처럼 공자는 당대 사람들에게 존경과 추앙만 받은 건 아니었다. 그러니까 절대적 인품을 보유해 신적인 존재는 아니었다는 뜻이다. 보통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배신도 당하고 비난도 받았다.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상처를 받기도 했다. 험한 꼴을 자초하기도 하고 멸시도 당했다. 정치판에 기웃대다 비웃음을 사기도 했고 관계 맺기에 서툴러 헛발질도 일삼았다. 한마디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지극히 인간적인 행보를 한 이가 공자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사람살이의 본질이 바뀐 건 아니다. 따라서 공자의 일상적 삶의 생각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그것과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공자가 위대한 것은 훌륭한 인품을 지녀서가 아니라 그가 지향하는 가치관이 시대를 떠나 보편타당한 깊이를 획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범한 일상을 꾸리는 건 성현들이나 나나 같은데, 그들은 자기 성찰적 사유를 남기고 나는 별 생각 없이 시간만 축낸다. 우리가 성현들을 존경하는 건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제대로 내기 때문이다. 공자 또한 그런 좋은 예이다.
가장 보수적인 `논어`를 가장 진보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작가의 독창적 시도가 맘에 든다. 논어가 일반 독자에게 학문적 깊이를 강요하는 수단이 될 이유는 없다. 작가의 말대로 논어는 연대의 언어이다. 공자는 당을 만들었다. 인과 예가 그 강령이고 진성당원으로는 군자가 있다. 서로 의지하고 격려해야 하는, 너무나 인간적인 사람끼리 지켜야 할 인예(仁禮)의 지침서가 논어이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