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어린왕자 이승환, 11집 `폴 투 플라이` 발표
최근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11집 `폴 투 플라이`(Fall to fly) 발매 간담회에서도 그랬다.
“26일 발표하는 이번 앨범 제목을 풀이하면 `비상을 위한 추락`이죠. 1997년부터 내리막길을 걸은 저의 세월과 비슷해요. 바닥을 치면 비상할 일만 남았으니 오히려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은 거죠.”
1989년 데뷔해 25주년을 맞은 데 대해선 “초반에 각광받을 실력이 아닌데 뒷걸음질치다 쥐를 잡은 격이니 행운아”라고, `어린 왕자`란 별명은 “이미 후배들에게 왕위를 찬탈당한 지 오래”라고 시원하게 웃었다.
대부분의 중견 가수들이 나이 이야기에 예민한데 반해 “팬들이 `공연의 신`(神) 대신 `공연의 쉰`(50)이라더라”, “한 사이트에서는 퇴물 가수 분위기더라”, “안경점에 갔더니 다초점 렌즈를 쓰라더라” 등 자학 섞인 유머도 쉴 새 없이 던졌다. 회사 직원들은 위험 수위를 넘나드는 그의 말에 걱정하는 눈치였다.
솔직한 성격인지라 가볍게 툭툭 내던지듯 말했지만 그는 이번 11집에 물량 공세를 퍼부어 사활을 건 느낌이다.
작업한 곡이 20여 곡에 달해 전(前)·후(後) 두 장의 앨범으로 쪼개 낸다. 녹음 시간만 3년간 1천820시간이 소요됐고 미국 로스앤젤레스 헨슨 스튜디오와 내시빌 오션웨이 스튜디오를 오가며 녹음해 비용만 3억8천만 원이 들었다. `클래스를 완성하는 1%의 차이`를 위해 세계적인 연주자를 참여시키고 뮤직비디오도 첫 앨범 수록곡 10곡 중 5편이나 제작한다.
“잘되고 싶어서 엄청나게 물량 공세를 했어요. 하하. 사실 10집이 2010년 역사의 뒤안길로 쓸쓸한 발걸음을 옮겼을 때 다신 앨범을 내선 안 될 것 같았죠. 그런데 운명적으로 음악 하는 사람이니 뭔가가 꿈틀대며 좀이 쑤셨어요. `추억 팔이`도 좋지만 늘 새로운 걸 하고 싶어하고, 사람들이 옛 노래만 알면 스스로 비참할 것 같아 다시 앨범을 만들었죠.”
지난 25년간 록과 발라드를 오가며 탄탄한 음악성을 구축했기에 새 앨범은 어느 쪽에 무게 중심을 둘지 관심이 모아졌다. 타이틀곡 `너에게만 반응해` 등 수록곡들은 대중성을 흠뻑 입어 반전이다.
그는 “무조건 다시 일어서야 한다는 결연한 의지로 대중친화적인 음악을 들려줘야 했다”며 “나의 1, 2집 때 음악 선호도가 높아 그때처럼 편안하고 풋풋하게 다가가려 했다. 그러나 완성도는 양보할 수 없어 곡 당 두세 번씩 믹싱을 했고 작업 후 폐기 처분한 곡도 있어 사운드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듣기 편하지만, 완성도가 높은 앨범”이라고 강조했다.
`너에게만 반응해`에는 미국 뉴욕에서 변호사로 활동 중인 가수 이소은의 맑은 음색이 더해져 봄날에 어울리는 밝은 곡으로 완성됐다.
그는 “사랑의 아픈 흔적이 지워져서 이젠 기억조차 안 나 밝은 가사를 쓰는 게 더 편하다”며 “사회적으로도 사람들의 피로도가 높으니 밝은 곡으로 즐거움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수록곡들은 한곡 한곡 호기심을 자극하며 필청(必聽)해야 할 `거리`를 제공한다.
대부분 대중이 이승환에게 바라는 곡을 담았지만 `라이프스 소 아이라닉`(Life`s so ironic)에서 랩을 하는 등의 새로운 시도로 액센트를 줬다. 그는 “11집의 첫 앨범이 듣기 편한 음악으로 인지도를 높이는 작업이라면 향후 두 번째 앨범은 더 실험적인 음악이 될 것”이라고 귀띔했다.
꼭 이루고픈 바람이 있다면 보컬이 악기 소리를 제압하는 앨범을 내거나 공연을 해보는 것.
“보컬리스트로 인정받고 싶은 면이 있어요. 제 목소리가 콧소리, 신음으로 폄하 당한 적이 있는데 그런 소리 안낸지 오래됐는데도 따라다녀요. 하하. 선입견이 불식되길 바라요.”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