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대에 임시 사무공간 확보 청신호
당초 한수원 측은 오는 연말까지 서울 본사 직원 중 700여명이 경주에서 상주 근무하기로 했지만 지역 특성상 대형 사무공간이 없어 경주시와 한수원 측이 골머리를 앓았다.
특히 경주시가 추천한 병원시설 등은 용도변경이 안돼 부적지로 판단되는 등 한수원 본사 이전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한수원 측은 대안으로 월성원자력본부 영에 임시 사무공간을 확보한다고 밝히자 경주시 측이 반대하는 등 충돌을 빚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교육부가 서라벌대학 일부 시설을 사무공간으로 활용해도 된다고 판단함에 따라 한수원 측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등 주춤했던 한수원 본사 이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와 관련, 경주경실련을 비롯한 지역사회는 교육부의 결정에 상당히 고무된 분위기다.
11일 경실련 측은 “만시지탄이지만 한수원 사무공간 확보는 천만다행한 일이고, 한수원 본사 경주 이전이 지역경제활성화에 큰 촉매제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지역상가도 크게 환영하고 있다.
경주중심상가연합회 이정환 회장은 “한수원 본사가 건립되기 전에 임시 사무실을 마련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침체된 경주 경제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을 보인다”고 말했다.
경주시의회 측도 희색이 만연하다.
박승직·김동해 의원은 “한수원 측이 본사 사무실 확보할 수 있도록 경주시 측이 전폭적으로 행정적 지원을 해야 하며, 경주의 `대표기업`이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이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방폐장 유치 효과는 한수원 본사가 경주로 완전이전됨에 따라 증폭될 것이다”고 했다.
경주상의 측도 “교육부 판단에 존중하며, 한수원 측도 경주시민과 약속을 조속히 이행해 경주의 대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하는 등 한수원 사무공간 확보가 연말 경주지역 핫 뉴스로 떠오르고 있다.
경주/윤종현기자
yjh09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