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실크로드 대장정
미리보는 `한바다호` 1만5천500km 대장정
2014 해양실크로드 탐험로는 7개국 9개항을 거치는 1만5천500km에 달하는 대장정이다. 대탐험의 코스는 한국(경주·울산·포항)~중국(닝보·광저우)~필리핀(다낭·호이안)~인도네시아(자카르타·족자카르타)~말레이시아(포트클랑·말라카)~인도(콜카타·탐룩)~스리랑카(콜롬보)~인도(캘리컷·고아)~이란(반다르아마스). 이번 해양실크로드는 한국해양대학교 `한바다호`를 타고 탐험길에 나선다. 7개국 9개 항(港)의 탐험길을 미리 가본다.
중국해상의 무역거점, 닝보
일명 영파라고 부르기도 하는 닝보는 송나라를 찾았던 고려 사신과 상인들이 묵었던 고려 사행관(고려사관 유적기념관)을 찾아 해상왕 장보고의 흔적을 되새겨 본다. 이곳 사행관 자리에는 장보고의 흉상이 있는 신라방 위치로 추정되고 있다. 매년 12월 해상실크로드 문화주간을 정해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다. 이곳은 중국정부가 지정한 국가해양경제 시범구다.
베트남의 보석, 다낭 & 호이안
베트남어로 `큰 강의 입구`라는 의미의 다낭은 인구 80만명이 사는 베트남에서 3번째로 큰 도시로 베트남전 당시 한국의 청룡부대가 처음 주둔한 곳이다. 다낭에서 남쪽으로 30km 떨어진 호이안은 참파왕국 때부터 중국, 일본을 비롯해 포르투갈, 프랑스 등 서양국가의 상인들이 빈번히 드나들면서 15~19세기 중계무역항으로 해양실크로드의 중요 거점을 형성했던 고대항구도시. 지난 199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東亞 무역거점, 말레이시아 말라카
말라카는 15세기 해상무역의 중심지였다. 말레이시아 최초의 왕국이었던 말라카 왕국은 1511년 포르투갈에 점령돼 아시아에서 가톨릭 세례를 받은 첫번째 도시로 알려졌다. 이슬람과 포르투갈 문화가 공존하고 있으며 중국과 말레이 현지 문화가 퓨전된 바바뇨냐인들의 음식 등 다양한 문화가 퍼져 있다. 중국인 거리 정화사원이 도시중심부에 있다.
해양실크로드 관문, 광저우
중국 해양실크로드 관문인 광저우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이다. 1757년부터 1840년까지 서구 무역이 허가된 중국 유일의 무역항. 명나라 때 남해제국(동남아시아) 조공선의 입항지로 청나라 중기 90년 동안 광저우 입항한 외국 선박은 무려 5천척에 달했다고 한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메달 주제도 해양실크로드였고, 해양실크로드 박물관도 지난 2009년 건립됐다.
동양최고 식민도시, 印尼 자카르타
옛 이름은 네덜란드인이 세운 식민도시인`바타비아`다. 인도의 고아와 함께 서양인들이 동양에 건설한 최고의 식민도시 가운데 한 곳. 1653년 네덜란드에서 출발한 하멜은 인도 고아를 거쳐 이곳에 머물렀고, 일본 나가사키로 항해하던 중 제주도에 표착하기도 했다. 이곳서 동쪽에 있는 족자카르타는 지난 2005년 경북도와 자매결연을 맺은 세계 최대 불교사원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보로부드르 사원이 있다.
문명개척자 혜초가 중국 무역선 타고 도착한 곳
혜초 도착지, 인도 콜카타(캘커타)
지난 1772년부터 140년간 영국령 인도의 수도였던 콜카타(캘커타)는 2001년 도시이름이 캘커타에서 콜카타로 바뀌었다. 문명개척자 혜초가 723년 중국 광저우에서 무역선을 타고 출발해 인도에 처음 도착한 곳이다. 이곳을 `아시아의 등촉`이란 시로 일제 식민지 하의 한민족에게 감동과 큰 힘을 불러 일으키게 한 시인 타고르의 고향이기도 하다.
15세기 이후 대서양~인도양~태평양 잇는 요충지
삼국유사의 스리랑카 콜롬보
망고나무가 무성한 해변에서 유래한 콜롬보는 15세기 전까지 아랍-인도간의 향신료, 도자기, 보석 무역항으로 번창한 곳. 15세기 이후에는 대서양~인도양~태평양을 잇는 교역항의 요충지였다. 411년 중국 최초의 인도 순례승으로 알려진 법현이 불교공부를 위해 2년간 체류하기도 했으며 소승불교 유산이 잘 간직돼 있다. 삼국유사의 용성국이 스리랑카 북부에 위치한 아아가디이파를 의미한다는 견해도 있다.
유럽 동방진출 창구, 인도 캘리컷
인도 남서부에 있는 코지코드의 옛 이름은 캘리컷으로 중세에는 인도 서부 해안의 향료무역 중심지였다. 13세기경부터 많은 이슬람 상인들이 이 지역 특산물 스파이스, 즉 향신료를 얻기위해 몰려 들었다. 지난 1498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바스코다가마가 인도 캘리컷에 첫발을 디디면서 유럽의 동양진출이 시작됐다. 캘리컷 해안을 후추라고도 불렀다.
해양대 실습생 등 200명 탐험대 구성 서역 교역루트 답사내년 개천절 대탐험 출발 2015년 1월1일 이란 이나 터키 입성
2015년에 열리는 `경주 실크로드 문화축제`도 전세계에 홍보
경북도가 2014년도에 계획한 `해양 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은 올해 실시한 `코리아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연결선상에 있다.
신라가 당시 육로뿐만 아니라 바다를 거쳐 페르시아 등 서역문명과 교류한 루트를 재현시켜 신라문화의 폭넓은 활동을 재조명한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2014년 해양실크로드 탐험이 마무리되면 육로와 바닷길이 도전을 향한 한국 청년들의 탐험로로 크게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렇게 될 경우 경주로부터 출발하는 한류가 실크로드를 따라 지금보다 더 많이 퍼져 나갈 것이란 분석이다.
이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경북도청 김남일 본부장은 “신라시대 혜초는 가죽장화를 신고 중국을 거쳐 인도까지 갔다. 그런데 지금 우리 젊은이들은 우리나라가 만든 자동차를 타고 또 스마트폰을 들고 한류의 열풍을 몰고 다니며 해양과 육로 실크로드를 갈 수 있다. 우리가 이렇게 할수 있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멋지고 감격스런 장면아닌가” 라고 반문했다.
경북도의 2014년 해양실크로드 사업 목적은 우리국민들의 국제화·개방화·해양탐험 정신을 재조명하고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교류, 창조적 해양산업발전과 해양국민의 뿌리를 찾는다는 것이 골자다.
또 2015년 개최예정인`경주 실크로드 문화축제`를 적극 홍보하는 것도 빠트릴 수 없는 대목.
해양실크로드 사업은 2014년 상반기 중에 세미나개최와 관련 해외도시 교류 등 을 거쳐 해양 실크로드 탐험대가 2014년 10월3일 대장정에 오른다.
경북도는 개천절을 탐험 시작일로 잡은 것은 바다 사정도 있지만 그만큼 이 사업이 주는 의미가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탐험대는 한국해양대 실습생 150명과 기록 등 지원단 50명 등 모두 200여 명으로 구성되며 2015년 1월1일까지 3개월간의 일정이다.
경상북도, 해양수산부, 경주시가 공동 주관하고 KIOST, 한국 해양재단, 한국 해양대학교, 대한민국 해군, 부산, 울산, 포항, 경주, 울릉, 화성, 삼척, 완도, 한국 해양소년단연맹, 독도 의용수비대 기념사업회 등이 후원한다.
해양 실크로드의 문화 역사적 재조명은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 혜초비 제막, 해양 실크로드 탐험 기록 등 갖가지 사업이 펼쳐지고, 국내에서도 경기도 화성(당은포), 전남 완도(장보고 유적지), 울산(신라무역항, 처용 유적지), 부산 (해양대학교), 울릉도 (독도해양과학기지) 등 국내 해양거점과 연계, 시너지 효과를 높일 방침이다.
해외 구간은 실크로드 해양 탐험 루트 7개국 9개 연안항을 탐험하고 이란 입성 후 이란 이스파한시 또는 터키 이스탄불 입성하는 안이 유력하다.
경북도는 해양실크로드 대장정 동안 터키구간의 바다 인접국가인 7개국과 국제교류를 추진하며 코리아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혜초 바닷길과 쿠쉬나메 서사시의 `이란왕자 귀국 루트(해로)`도 둘러본다.
경북도는 2014년에 해양 실크로드 사업의 연구를 통해 논문 발표와 자료 DB화와 해양 실크로드 사전·도록 편찬, 국제학술회의 등 다양한 기록산업도 연중 내내 부대사업으로 함께 추진한다.
이를 위한 해양관련 신시장 개척, 인도와 이란 니쇼부와 등 혜초 유적지 혜초비 제작, 혜초 뮤지컬 선상 공연 등 해양 역사문화와 연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도 현재 기초 작업이 한창이다.
경북도는 이 사업을 위해 지난 2일 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바다호` 사용 업무를 협의하고 30일에는 경북매일신문과 공동으로 힐튼 경주호텔에서 역사적 사실을 고증해 보는 해양 실크로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김남일 본부장은 “`해양 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은 해상제국 신라 문물교류의 장이었던 해양실크로드 재조명을 통해 해양탐험정신과 해양문화를 계승·발전해 대한민국의 창조적 해양산업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또 김 본부장은 “경주는 이미 올해 육지를 통한 올해 실크로드 탐험 성공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았다“면서 2014년에 해양실크로드 탐험을 성공리에 마무리 해 신라가 육지와 바다라는 길을 통해 세계속의 중심이었다는 것을 확실히 할 방침”이라며 경북도가 추구하는 이 사업의 목표는 경북지역이 세계속의 해양 거점, 문화거점이었음을 도민들이 함께 공유, 경북의 발전 초석을 다지는데 있다고 했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