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날갯짓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3-10-11 02:01 게재일 2013-10-11 19면
스크랩버튼
누구에게나 날개는 있다. 하지만 그 날개의 쓰임새는 천양지차이다. 약한 날개를 가졌으나 그 깃털을 보듬어가며 약진의 발판으로 삼는 이가 있는가 하면, 기왕의 강한 날개로 태어났으면서도 그 기운을 뒷전으로 몰아내 퇴보의 빌미로 삼는 이도 있다. 서글픈 건 날갯짓을 일관성 있게 한다는 게 쉬운 게 아니라는 거다. 신은 인간을 핑계거리 많은 피조물로 만들었다. 해 봐도 안 되고, 하기 싫어서도 안 하고, 할 여건이 안 되어서 못하고 등등 갖은 이유로 우리들이 시도하지 않은 날갯짓에 대해 변명할 기회를 부여해주었다.

제대로 날갯짓을 해 본 적이 없다. 다이어트와 운동을 겸한다는 결심도 작심삼일이요, 매일 정해진 분량의 원고를 쓰겠다는 구호도 허방이기 일쑤고, 독촉 받는 원고를 마감 시간에 맞추는 것조차 힘겨운 일상이다. 주변인들이 뚝심 있게 제 날개를 펼치는 것을 보면 그저 존경스러울 뿐이다. 만날 그 정신만은 벤치마킹한다. 하지만 여러 핑계 때문에 실천이 될 리 없다. 그 핑계의 전부는 알고 보면 게으름이다.

뉴질랜드 은화를 보면 키위새가 나온다. 부리가 길고 후각이 발달한 그 새는 날지 못한다. 아주 오래전 먹을 것이 풍부했던 뉴질랜드 땅의 키위새에게는 천적이 없었다. 굳이 날아다니지 않아도 먹을 것 천지였다. 자연히 날개는 퇴화했다. 하지만 인간이 그 땅을 접수하면서 키위새에겐 재앙이 따랐다. 인간과 함께 들어간 고양이, 들쥐의 먹이가 되고, 인간의 손쉬운 사냥감이 되는 바람에 한때 그 개체수가 멸종 위기 수준으로 줄었다. 키위새에게 날 수 있는 힘이 있었으면 그리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천적 만들지 않는 삶은 일견 평화로워 보이지만 그 평화로움이야말로 제 영혼을 갉아 먹는 소리 없는 아우성이다. 묵묵히, 또는 소란스럽게 제 삶의 에너지를 분출하며 사는 모든 이들을 제 삶의 긍정적 천적으로 모실 일이다. 그들이 이끄는 일상의 방식에 내 영혼의 밥술을 얹어 조금이라도 자극을 받고 싶다. 퇴화하는 날개 끝에 얻은 안주는 무서운 습관이기 십상이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