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 선생 탄생 100주년 맞아 경주서 내달 3일 초연
(재)경주문화재단은 김동리 선생의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오는 9월3일 `무녀도동리`를 초연한다.
<사진> 그간 무녀도는 영화나 연극 등으로 공연된 적은 있지만 뮤지컬로 제작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경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에서 초연 후, 다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내에 위치한 극장 용에서 10월 11일부터 11월 3일까지 장기공연을 한다.
서울 공연에서는 박선미, 정혜영, 노현희 씨 뿐 아니라 드라마, 영화 등에서 활약하고 있는 뮤지컬 배우 김선경, 김수용 씨도 함께 출연한다.
뮤지컬 `무녀도동리`는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서의 기반을 마련할 뿐 아니라, 천년 고도 경주의 문화적 자산과 지역 브랜드 가치를 재확인시키는 작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전달하기 위해 토속적인 경주 말씨를 온전히 살려 원작의 생동감을 선사할 것이다. 이는 2014년 한글박물관 개관을 앞둔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올해부터 진행하고 있는 `한글문학극장` 사업과도 연계되어 있다.
노벨 문학상 후보로도 지명된 경주 출신의 대문호 김동리. 그의 대표작인 소설 `무녀도`는 중등교육과정 교과서에 수록되어 수능에도 빈번히 출제되고 있으며, 1972년에 제작된 영화 <무녀도>는 당대 최고의 배우였던 김지미와 윤정희씨가 주연 싸움으로 말썽을 빚을 정도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이 뮤지컬에는 오늘날까지도 청부(淸富)의 상징인 경주 최부자의 육훈(六訓)을 비롯해 동시대적 화두인 글로벌이라는 단어를 대입할 수 있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증에 의한 실제인물과 사건들로 재구성함으로서 작품의 깊이와 이해를 한층 폭넓게 하고 있다.
여기에 경주의 금장대, 안압지, 예기소 등 경주 문화유적지를 이 작품을 통해 소개한다. 한편 경주시립극단의 간판배우인 박선미, 신예 정혜영 씨를 비롯해 경주시립극단 단원들이 대거 출연할 뿐 아니라 국내 공연계를 대표하는 경주 출신의 아티스트, 스태프가 참여한다.
기획·연출을 맡은 엄기백 경주시립극단 예술감독은 “이 작품을 종교적 대립이나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아닌 역사의 순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대적 요구를 어떻게 선택할 지에 대한 태도의 문제로 치환시켜 지금도 유효한 당면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종현기자 yjh09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