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수원 사장·방폐공단 부이사장, 수개월 공석으로 원전사업 표류

윤종현기자
등록일 2013-07-29 00:58 게재일 2013-07-29 8면
스크랩버튼
중요 현안 결정권자 없어
【경주】 국내 원전사업을 주도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주)와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하 방폐공단) 수뇌부의 임명이 지지부진하면서 두 기관의 현안사업이 표류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한수원 사장의 경우 김균섭 사장이 원전비리로 사퇴한 후 발전본부장이 직무대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수원측은 지난 6월10일 임기 3년으로 하는 사장 공모를 실시했다.

차기 사장은 경영실적평가 결과 등에 따라 1년 단위 연임(3+1)가능하도록 했다.

같은 달 13일 접수 결과 16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모집 이후 45일 지나도록 신청자에 대한 인사 검증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임원을 선정하려면 대상자를 상대로 재산현황 등 인사검증동의서를 받는다.

그런데 한수원측은 이들에게 인사검증동의서 등 관련 절차를 전혀 진행하고 있지 않다. 특히 공기업 임원 임명은 청와대가 최종 결정하는데,이제까지 한수원 사장이 임명되지 않는 것은 `적격자`가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현재 한수원의 최대 현안인 원전비리 수습,그리고 한수원 본사 경주이전,해외사업 등이 최고 결정권자없는 상태에서 추진되고 있다.

준정부기관인 한국방폐물관리공단 부이사장 임명 건도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현재 방폐공단은 진행중인 방폐장 사업도 중요하지만,사용후핵연료 처분장 공론화를 추진해야 한다.

이 문제 핵심실무자는 부이사장이다.

그런데 현 부이사장의 임기가 지난 1월20일 만료됐는데도,후임자 결정이 6개월이 지나도록 해결치 못하고 있다.

부이사장 임명권자는 이사장이지만,실제 권한은 산자부가 주도해 청와대가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방폐공단은 새정부 출범 후 차기 부이사장 임명을 위해 지난 4월 3명의 후보를 추천했지만,적격자를 찾지못했다.

이 중 2명은 전·현 방폐공단 간부였고,1명은 한수원 간부 출신이었다.

그런데 방폐공단측이 추천한 2명의 간부는 `부적격자`인 것으로 알려져,방폐공단 인사 시스템에 큰 헛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방폐공단측은 지난 6월 임원추천위원회를 열고 3명의 응모자가 역량평가 등 절차에서 최종 1명이 통과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두 기관의 사외이사도 임기가 끝났는데로 교체되고 있지 않는 등 원전사업 관련 공기업인사가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윤종현기자 yjh0931@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