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의원은 이날 오전 포항시 동해면사무소에서 포항시 및 포스코 관계자, 군공항이전추진위원회, 동해면 이장협의회, 주민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공항확장 추진상황 및 군 공항 이전 관련 간담회`에서 포항공항 확장안은 백지화됐다고 주장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 의원은 “공항확정사업이 마무리되기 위해서는 현재 시점에서 이들 절차가 마무리되고 최소한 다음달부터 공사가 착공되어야 하지만 하나도 이뤄진 것이 없다”며 “포항공항 확장이 사실상 백지화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즉, 포항공항확장 사업은 오는 2014년 9월까지 완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공항 편입지 도시계획 변경과 편입 보상, 사업 설계 등의 절차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백지화와 다름없다는 것.
김 의원은 또 포항공항 백지화를 입증하는 또 다른 근거로 국방부장관과의 면담내용을 공개했다. 국방부장관이 면담을 한 자리에서 포항공항확장사업 추진시 지역 주민들의 협의절차를 거치겠다는 약속을 했고, 주민들은 전면 백지화를 주장해 왔기 때문에 공항확장은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특히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발효됨에 따라 공항확장 백지화는 곧바로 공항이전 문제로 옮겨붙는 모양새가 되고 있다. 벌써 동해면민 중심으로 구성됐던 공항확장반대추진위가 인근 8개 읍면이 참여하는 군공항이전반대추진위로 조직을 확대 개편하고, 10만명 서명운동에 들어갔다고 한다. 포항시 개발자문위원연합회 역시 이날 간담회에서 군공항 이전을 촉구하는 건의서를 채택했다.
대도시 인근의 군공항이 지역민에게 주는 피해는 사실 말로 표현할 필요가 없을 만큼 명확하다. 포항공항 확장안이 백지화될 경우 포항공항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질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포항공항 확장문제가 백지화와 공항이전의 수순으로 이어지는 게 바람직한 가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하는 게 옳다고 본다. 포항공항을 다른 지역으로 이전해선 안된다는 일각의 주장도 무시해선 안되기 때문이다. 지역 산업발전을 위한 물류 측면에서 공항 유치를 위해 힘쓰는 지자체가 적지않은 현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어쨌든 포항공항이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리되기를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