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아줌마 단상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2-11-07 20:55 게재일 2012-11-07 19면
스크랩버튼
우리 사회에서 아직 `아줌마`라는 말은 긍정의 의미보다는 부정의 의미가 더 강하다. 처음부터 나쁜 의미로 쓰인 건 아닐 것이다. 아주머니에서 출발한 그 말은 친척이나 가까운 이웃의 부인네를 친숙하게 칭할 때 두루 쓰이는 말이었을 게다. 하지만 이제는 사전조차도 `아주머니를 낮추어 이르는 말`이라고 되어 있다.

사전적 의미의 아줌마를 오늘 대로변에서 목격했다. 한 남자에게 악다구니를 퍼부으며 뺨을 사정없이 후려친다. 그것도 분에 차지 않는지 핸드백으로 남자의 가슴팍과 어깨 등을 닥치는 대로 내리치고 발길질까지 서슴지 않는다. 재혼 가정인 모양인데 딸 혼사 문제로 낮술한 잔씩 한 김에 실랑이를 벌이는 듯했다.

아줌마의 여러 이미지 중 `그악스러움`이 담긴 얘기는 옛날에도 있었다. 구한말 때의 여행가 새비지 랜도어는 우리의 아줌마 관찰기를 이런 내용으로 기록했다. 꿔 간 돈을 갚지 않은 포졸이 오리발을 내민다. 채권자 남편이 그것을 해결하지 못하자 구경만 하고 있던 아내가 빨래방망이로 포졸을 때려 실신시킨다. 정신 차린 포졸이 달아나자 끝까지 쫓아가 포졸을 얼음판에 쓰러뜨리고 얼굴을 물어뜯기까지 한다. 보다 못한 새비지 랜도어가 말리다가 무릎을 얻어맞아 달걀만한 혹이 생겼다나.

예나 지금이나 `아줌마`는 약간은 그악스럽고 조금은 불편한 이미지로 그려지나 보다. 하지만 양성 평등론과 여성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그 말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편견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알리게 되었다. 남성의 그악스러움과 불편부당함은 `아저씨`로 한정되지 않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지 않은가 `어머니, 엄마`가 주는 이미지만큼 성스러운 위상을 기대하는 건 아니지만 아줌마도 여성인 만큼 너무 부정적인 의미로만 국한되지 않기를 희망해본다. `아줌마는 나라의 기둥`이라면서 아줌마들 힘을 돋우는 여성 단체도 있지 않은가.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