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사항<br>사고 당일 초동대처<br>중화제 소석회 살포<br>주민대피명령 조기 해제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불산가스 누출 사고의 책임 소재를 밝히라고 지시하자 관련부처 공무원들은 물론 구미시 등 관계자들도 바짝 긴장한 상태다.
정부(환경부) 와 구미시의 책임공방은 사고 당일 불산사고 초동대처 문제, 주민대피명령 조기 해제, 불산중화제 소석회 살포문제 등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사고당일 초동대처 문제는 정부가 사고 발생후 1주일이 지난 4일 차관회의를 열어 정부합동조사단을 파견키로 했다.
그러나 정부합동조사단 파견 이전에는 구미시가 사고수습 책임을 맡았지만 예상외로 주민과 농작물로 2차 피해가 확산되자 구미시는 당황했다.
그러나 구미시는 정부가 초동 대처에 신속히 대응치 못해 피해를 키웠다며 반박했다.
반면 환경부는 차관회의 이전은 구미시가 자체 수습해야 한다며 정부책임이 아니라고 말했다.
또한, 주민 대피명령 조기해제 문제는 서로 의견이 엇갈렸다.
환경부는 사고 다음날인 지난달 28일 오전 3시30분에 심각 단계를 해제해 구미시는 이날 오전 8시30분에 상황종료를 선포한 후 오전 11시에 주민에게 복귀토록 조치했다. 그러나 시민들은 가스피해가 예상되는데도 주민대피 명령을 일찍 해제했다는 비난이 쏟아지자 환경부는 심각 단계를 해제했을 뿐이라고 발뺌했다.
그러나 구미시는 “이런 중대상황은 우리가 마음대로 해제할 상황이 아닌 환경부의 결정에 따랐을 뿐”이라며 환경부 책임이라고 했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우리가 잔류오염 측정을 해서 알려주기는 했지만, 주민 대피명령 해제는 구미시의 현장안전대책본부가 결정하는 사항”이라며 반박했다.
사고 당일 소석회 살포 문제에도 양측간 신경전이 벌어졌다.
국립환경과학원이 불산가스 누출사고 직후 구미시에 7회에 걸쳐 중화제인 소석회 살포를 지시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구미시가 반박하고 나섰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10일 “환경과학원으로부터 소석회 살포 요청을 듣지 못했다”는 내용의 해명서를 내고 시간대별 상황을 들어가며 “우리도 같은 피해자”라며 억울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구미/남보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