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수교 20주년 철강포럼
지난 25일 한국철강협회가 마련한 `한ㆍ중 수교 20주년 기념 제36회 철강산업 포럼`에서 향후 8년동안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중국·일본 등 3개국의 철강 생산(조강) 능력은 지난해 말 기준 8억5천990만t으로 전 세계의 56.7%나 차지한다. 세계 철강산업의 중심이 유럽과 미국에서 아시아로 넘어온 것이다. 그러나 3개국의 상황은 그리 좋지 않다. 오는 2020년까지 동아시아 지역 철강 수요가 줄어들고 설비 능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참조> 정은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주제 발표를 통해 “향후 2020년까지 동아시아 지역 철강 수요가 줄어들고, 철강사의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수익성이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연구위원은 “2020년께 한ㆍ중ㆍ일 3국의 철강설비 과잉은 약 3억2천만t에 달할 것”이라며 “역외지역에서 수출시장이 확대되지 않는다면 3개국간 수출경쟁은 더 심해지고, 각국 수입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은 중국에서 539만t의 철강재를 수입했다.
전체 수입량 중 48.9%로 전년 대비 5.3%포인트나 늘었다. 이는 중국 철강업체들이 자국 내 수요 부족으로 저가 수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철강재 수입량도 418만t으로 전체 수입량의 37.9%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7%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정 연구위원은 국내 철강업계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수출 대상국 현지화 전략과 글로벌 특화제품 공급체제 구축을 강조했다.
/김명득기자